학생수·취업률 ‘동반 하락’
시교육청 연구용역 대책 모색
인천지역 특성화고등학교의 학생 수와 취업률 하락을 해소할 방안으로 4차산업 수요에 맞는 학과 개편이 떠올랐다.
10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한성대학교에 위탁한 특성화고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 결과 학과 개편과 자체 직업교육모델 개발 등의 방안이 나왔다.
인천지역 특성화고 학생 수는 2016년 1만8천894명(716학급)에서 2018년 1만5천746명(660학급)으로 줄었다.
인천지역에서 특성화고를 다니다가 일반고로 옮긴 학생 수는 2015∼2018년 4년간 연 평균 193.5명에 달했다. 반면 일반고에서 인천지역 특성화고로 옮긴 경우는 같은 기간 평균 77.5명에 불과했다.
또 인천지역 특성화고는 전체 학급의 절반에 가까운 316개 학급(47.87%)이 경영·금융을 포함한 상업 계열과 기계 등 공업 계열에 편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 감소뿐 아니라 취업률도 저조했다.
인천 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등 29개 직업계고의 올해 졸업생 6천703명 가운데 취업자는 전체의 34%(2천280명)에 머물렀다.
이처럼 특성화고의 학생 수가 줄고 취업률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자 한성대학교 측은 인천시의 전략 산업에 맞는 학과 개편 등 대책을 제안했다.
용역 기관 측은 산업 수요와 선호도 등 여러 평가 지표를 종합해 전체 특성화고 학과의 70%는 유지하되 15%는 조정하고, 15%는 대체하며 앞으로 상황에 맞게 비율을 조정하자는 안을 내놨다.
취업률 제고를 위해 시와 시교육청이 함께 특성화고 취업지원센터를 활성화하고 학교를 이전·재배치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연구 용역 결과에 따라 특성화고 혁신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