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기본방침 세워… 연공서열 부작용·적체 문제 사전차단
인천시가 차기 균형발전정무부시장 자리에 정치인·공무원·교수 출신을 모두 배제키로 기본 방침을 정했다. 기존 정무적 역할과 함께 민선7기의 주요 정책인 도시재생 분야를 총괄할 지역 인사 중 적임자를 찾고 있다.
시는 또 산하 공기업과 특수목적법인(SPC)의 빈자리엔 퇴직 공무원 등을 내보내 공직 인사 적체 문제 등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10일 시에 따르면 허종식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은 2020년 국회의원 선거 출마로 이르면 12월 중 부시장직을 사퇴할 예정이다. 공직자가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선 선거 90일 전에 사직해야 한다.
현재 일각에선 균형발전정무부시장직엔 전직 공무원인 오흥석 전 교통국장, 정치인으로는 서준석 전 미추홀구을 지역위원장, 교수 중에는 김민배 인하대 교수와 이갑영 인천대 교수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하지만 시는 차기 균형발전정무부시장 인선에 대해 3비(非) 원칙을 정했다. 공무원 출신과 정치인, 교수 등은 일단 배제한다는 것이다. 시는 과거 사례를 보면 부이사관(3급) 출신 공직자가 1급 부시장 자리에 앉았을 때 공직사회에서 느껴지는 부작용이 컸기에, 이번엔 아예 대상으로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 또 차기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의 임기가 민선7기의 임기와 같이 가는 만큼, 정치인·교수 등 정계로 진출 가능성이 있는 인물도 빼기로 했다.
시는 특히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은 기존 정무적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선7기의 정책 방향이 많이 담긴 도시재생 분야를 총괄할 적임자를 찾고있다. 현재 박남춘 인천시장이 직접 여러 인물을 만나며 도시재생분야 전문가 중 인천을 잘 아는 중량감 있는 인물을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유력한 후보로 꼽히는 신봉훈 시 소통협력관도 기본 방침은 배제로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적당한 인물 물색에 실패하면 최후의 카드로 사용할 가능성은 남아있다.
이와 함께 시는 인천도시공사와 인천교통공사 감사직에 퇴직했거나, 퇴직을 앞둔 공무원을 앉힐 예정이다.
현재 공모가 진행 중인 교통공사 감사직은 시 고위 공무원 출신으로 도시공사 상임이사를 맡았던 전상주씨가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시는 또 시는 도시공사 감사직과 산하 SPC인 글로벌시티 대표이사직엔 정년퇴직이 3년 안팎 남은 서기관(4급) 공무원을 내보낼 계획이다. 모두 시의 각종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시와의 정책적 연계성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시는 이를 통해 심각한 인사 적체 문제도 해결하면서 공직 사회를 달래겠다는 복안이다.
시 관계자는 “공무원의 퇴직 후 재취업 규정이 까다로워 적절한 인물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이라며 “기본적으로 정무직 인사가 들어간 공기업 등에는 가급적 공무원을 투입해 시와 유기적으로 상의하며 많은 일을 하도록 할 예정”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