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문화재단이 인천시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가 미흡해 행감이 시작부터 파행을 빚는 등 잡음이 나왔다.
11일 제258회 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가 문화재단을 상대로 한 행감에서 박종혁 문복위원장은(더불어민주당·부평구6) 문화재단이 제출한 행감 요구자료가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아 행감 시작 직후 감사 중지를 선포했다.
앞서 김성준 의원(민·미추홀구1)은 “행감에 제출한 자료가 기관장이 최종 확인을 서명하는데, 사무처장 이름의 자료를 제출한 것은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이 자료를 갖고 행감을 진행할 지는 다른 의원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감사 중지를 요청했다.
문복위는 약 1시간 30분간 감사 중지 후 행감을 재개했지만, 시의원들은 요구자료에 대한 지적을 이어갔다. 유세움 의원(민·비례)은 “요구자료 내용이 허위로 올라온 것 확인했는지 모르겠다”며 “공연장 상주단체 지원 목록에서 2017년 선정단체가 다 틀렸다”고 했다. 이에 최병국 이사장은 “체크하지 못 했다”며 “죄송하다”고 답했다.
이 밖에도 인천의 높은 재난 위험성 지수 및 국제 UNDRR(유엔재난위험경감사무소)의 롤모델 도시 인증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기획행정위원회의 시민안전본부를 대상으로 한 행감에서 조성혜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행정안전부의 지역안전등급을 보면 자연재해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고 생활안전도 4등급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가 UNDRR의 롤모델 도시 인증을 추진하는데 이런 지수를 가지고 인증을 받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고 말했다.
앞서 시는 지난 6일 UNDRR 본부에 UNDRR 롤모델 도시 인증을 위한 신청서를 냈다. UNDRR 롤모델 도시는 MCR캠페인(도시복원력 캠페인) 가입도시를 대상으로 재해위험경감과 복원력에서 혁신적, 창조적, 포괄적, 효율적인 조치를 실현한 도시에 대해 UNDRR 본부가 국제적으로 인증하는 제도다.
한태일 시민안전본부장은 “행안부가 매년 공표하는 안전지수가 1가지의 바로미터인 것은 부정할 수 없다”며 “그렇지만 시민들이 실제 체감하는 것은 많은 항목과 기준에 따라 달라질 것 같다”고 해명했다.
김민·이승욱·안하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