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묻은 軍부지, 내년 6월 ‘원상복구’ 해야… “침출수 재우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해 돼지 살처분에 나섰던 연천군이 돼지사체를 매몰하는 과정에서 침출수를 유출(본보 12일자 1면)해 파장이 일었던 가운데, 문제가 발생했던 민통선 내 매몰지를 7개월 뒤 ‘원상복구’해 군(軍)에 돌려줘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기간까지 땅에 묻힌 돼지가 퇴비화되지 않았을 경우 사체를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할 수 있어, 또다시 침출수가 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17일 연천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달 21일 관내 사육돼지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에 돌입해 이달 9일 끝마쳤다. 하지만 살처분된 돼지를 ‘렌더링(동물 사체를 고온ㆍ고압 처리해 파쇄)’ 방식으로만 처리하기엔 속도가 더디고 악취도 심각해 골머리를 앓았다.

그러던 중 농림축산식품부가 ‘빠른 마무리’를 하라며 압박을 넣자 연천군은 SMC저장소를 이용한 ‘매몰’ 방식으로 작업 형태를 바꿨다. 이때 매몰지로 선택한 곳이 연천군 중면 마거리 소재 A 군부대 부지다. 연천군은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지난 10일부터 민통선 안에 돼지사체를 묻기 시작했다.

그러나 문제는 해당부지의 사용기한이 불과 7개월 뒤인 ‘내년 6월’까지인 것으로 확인되면서다.

연천군은 통상적으로 6개월이면 퇴비화가 완료된다는 판단에서 2020년 6월까지 땅을 빌렸지만, 그 사이 12~3월 동절기가 포함돼 있다. 추운 날씨로 퇴비화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으면 또 새로운 매몰지를 찾아 돈사체를 옮겨야 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석우 연천임진강시민네트워크 공동대표는 “6개월이면 퇴비가 된다지만 그야말로 이론적인 내용 아닌가. 퇴비가 됐다고 해도 ASF 바이러스 등에서 안전한지 연구ㆍ검사가 진행돼야 하는데 7개월은 너무 촉박하다”며 “돼지를 다시 꺼내다 침출수 문제가 생길까 우려가 들고, 방역 당국의 안일함에 걱정이 크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軍) 내 국방부와 육군은 서로 부지 사용에 대한 책임을 떠넘기며, 구체적인 협의 사안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방부는 A 부지가 군부대 관할이므로 육군이 담당이라는 입장이고, 육군은 민통선 내 부지에 대한 관리는 국방부라고 상반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육군에서 부지를 빌려준 것으로 알고 있으나 정확한 임대 기한과 조건은 파악해봐야 한다”며 “최종적으로 국방부가 확인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연천군 관계자는 “문서합의 대신 구두협의로 진행됐고 내년 6월까지 무상 사용키로 했다”며 “그전까진 충분히 퇴비화가 가능하며 원상복구해 군부대에 돌려줄 것”이라고 밝혔다.

 

정대전ㆍ이연우ㆍ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