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양극화’ 상위 10% 집값 1억 원↑…하위 10%의 38배 수준

유주택자 사이에서 고가주택과 저가주택의 집값 양극화가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 중 자산가액 상위 10%의 집값은 1년 새 1억 원 가까이 뛰었지만, 하위 10%는 100만 원 상승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8년 주택소유통계 결과’를 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전체 1천997만 9천 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천123만 4천 가구(56.2%)로, 1년 전보다 0.3%p 증가했다. 무주택가구는 43.8%인 874만 5천 가구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 중 주택자산 가액 기준 상위 10%의 평균 주택 자산 가액은 9억 7천700만 원으로 1년 전(8억 8천100만 원)보다 10.9%인 9천600만 원 상승했다. 반면에 하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2천500만 원에서 2천600만 원으로 4%인 100만 원 오르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하위 10%의 37.58배에 달했다. 주택 소유 상ㆍ하위 10% 간 주택자산 가액 격차는 2015년(33.77배), 2016년(33.79배), 2017년(35.24배) 등으로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주택소유가구 중 주택자산가액 하위 10%의 주택자산가액은 적게 오르고, 상위 10%는 많이 올라 양극화가 심화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주택임대사업자가 늘어나면서 상위계층의 보유주택수가 늘어난 데 따른 영향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