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간 제조요람, 활력 저하돼… 청년들에게 매력적으로 개조 필요”
채용구조 혁신 합당한 보상 받게 건설일자리 종합지원대책도 검토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가 전국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향후 5년간 5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 양질의 건설 일자리 공급을 위해 채용·근로여건·안전 등 종합지원대책도 검토하기로 했다.
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는 19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당정협의에서 “산업단지는 지난 50년간 제조업의 요람이었지만, 4차 산업혁명과 도시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청년들이 외면하고 제조업 활력이 저하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입주기업 고용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청년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정주 환경 개발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정책을 좀 더 속도감 있게 펼치기 위해 법률 개정안은 당과 협의해 최대한 발의되도록 하고, 시행령·지침 개정사항은 바로 정부가 변경에 착수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정식 정책위의장(시흥을)도 “산업단지 관리를 규제 중심에서 산업진흥 및 기업 지원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며 “청년창업 지원을 위해 입지 공간을 제공하고, 스타트업 지원체계와 청년인재 양성·취업 연계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는 건설 일자리와 관련해서도, “인력 채용과 근로여건, 임금, 현장안전 등이 망라된 종합지원대책이 요구된다”며 “불법고용·하도급 취업 차단 등 채용구조를 개선하고 건설 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육성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에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정부 지원 규모와 방식을 대폭 증대 전환해 향후 5년간 5만 개 플러스 알파(+α)의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하겠다”며 ▲산단 중심 일자리 거점 혁신계획 수립 ▲정부의 패키지 지원 및 규제 개선 ▲산업 발전 모델 구축 및 지역별 성공사례 창출 등을 약속했다.
이 부위원장은 이어 “불법적이고 폐쇄적인 채용구조를 혁신하고, 모든 건설근로자가 일한 만큼 합당한 보상금을 받으며 안전하고 공정한 환경에서 마음 놓고 일하도록 하겠다”며 “4차 일자리위원회에서 의결한 ‘건설산업 일자리 개선대책’을 현장에 확고히 안착시키고, 건설산업이 좋은 일자리 산업으로 체질이 개선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이날 당정협의에는 당 지도부와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 김학도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 등이 참석했다.
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