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변화에 맞춰 달려갈 수 있는 엔진은 ‘분권’입니다.”
염태영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대표회장은 20일 오전 7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7회 자치분권과 사회혁신포럼에서 기조강연 발제자로 나서 ‘사회혁신의 엔진, 분권형 복지대타협’에 대해 강연했다.
염 대표회장은 기초정부의 관점에서 우리 사회의 다양한 혁신적 정책들이 실패한 원인으로 중앙집권적 정책 구조를 꼽았다. 그는 “지방자치 부활 25년 만에 불교부단체가 2곳만 남게 되는 등 지방정부의 재정이 고사 직전 상태”라며 “복지는 확대됐지만 여전히 사회 환경에 대응하지 못하고 낡은 실행체계가 유지된다면 중앙정부가 복지정책을 늘릴수록 지방의 재정은 점점 악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에서 효과성을 검증받은 정책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모델을 제시했다.
염 대표회장은 수원의 ‘공동주택 근로자 휴게시설 의무설치’를 국토부에서 반영해 법령을 개정 중인 사례를 소개하며, 현장에 밀착된 지방정부의 성공한 정책이 확산되는 방식이 실패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초 지방정부의 지속 가능한 복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시작한 ‘복지대타협특별위원회’가 중앙과 광역, 기초정부 간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공공성을 확충하고 맞춤형 사업들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염 대표회장은 “지방정부에 자율성과 책임성이 주어지는 재정 분권이야말로 사회혁신의 동력이 될 것”이라며 “자치와 분권, 거버넌스를 통한 권한의 분산이 진정한 혁신”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주최하고 자치분권과사회혁신포럼이 주관한 이날 포럼은 정부는 물론 학계와 시민사회 등이 참여하는 자치분권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7번째로 마련됐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