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버스·철도파업에 출퇴근 ‘임시 교통수단’ 전면 투입… 시민불편 최소화

고양시는 최근 잇단 버스와 철도 파업으로 인한 시민불편 최소화를 위해 관용차량, 시내버스·마을버스, 택시 등 ‘임시 교?수단’을 출ㆍ퇴근 골든타임에 전면 투입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현재 지난 19일부터 고양시에 소재 명성운수의 노조 파업으로 20개 버스노선 운행이 중단됐고 경의선·3호선 등 전철 파업도 진행되고 있는 상태다.

시는 파업 당일부터 대화역~서울역 구간에 전세버스 20대를 무료 운행하고 있으며, 공무원 통근버스와 고양도시관리공사·복지회관·꿈의버스 등 공공기관의 관용차량도 추가 투입키로 했다.

또 시내버스 10대를 파업 구간 노선에 배치하고, 마을버스 4개 업체의 버스 10대도 투입해 지역 내 외곽·취약지역부터 서울까지 운행키로 했다.

경기도와 협의해 3300번 대체노선인 7400번을 증차 운행할 예정이다.

이들 버스는 대체버스·임시운행 등 안내문구가 표기 돼 있으며 기존 버스와 마찬가지로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출·퇴근 인파가 몰리는 골든타임인 오전 6시30분~8시30분, 오후 5시~8시에 택시 50여 대를 집중 배치한다.

이 택시는 대화·주엽·마두·백석역 등 중앙로 4개 거점부터 구파발역~디지털미디어역까지 운행하며, 상황에 따라 100대 정도로 점차 늘릴 계획이다.

이재준 시장은 “파업의 장기화에 대비해 활용 가능한 모든 대체 교통수단을 추가로 투입함으로써 서울로 오가는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양=유제원ㆍ송주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