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장기간 답보 상태인 동구 수소연료전지사업에 대한 민·관 합의를 전격적으로 이끌어 내면서 수소 경제의 핵심인 연료전지사업에 파란불이 들어왔다.
21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35년까지 인천의 전력 수요량 중 25%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한다는 목표를 마련했다.
현재 인천은 전력자립도가 255%에 달한다. 잉여 전력을 수도권에 판매하고 있을 정도다. 하지만 대부분이 화력발전 등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발전 방식으로 얻어진다.
이에 따라 최근 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석탄과 석유, 원전 등의 비중을 줄이고 수소 같은 청정한 에너지원 비중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특히 수소연료전지는 지난 1월 정부가 야심 차게 발표한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핵심이다. 연료전지에서 공급한 에너지로 수소차,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용 연료전지, 수송용 연료전지 등 수소 경제가 움직인다. 연료전지가 곧 수소 경제의 심장인 셈이다.
이에 발맞춰 시는 ‘수소경제특별시’를 목표로 수소연료전지사업 활성화에 나설 방침이다.
첫 단추는 바로 동구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이다. 전국 곳곳에서 추진 중인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사업이 주민 반대로 난항을 겪는 가운데, 시는 지난 18일 민·관 합의를 이끌어 냈다. 10개월 넘게 첨예하게 대립했던 사안을 극복한 것이다. 이 같은 사례는 주민 수용성과 협치·소통이 수소 경제 성공의 열쇠라는 것을 보여준다.
박남춘 시장은 “친환경 대체 에너지로의 전환은 절대 미룰 수 없는 당면과제”라며 “어렵게 이뤄낸 이번 합의가 인천을 4차 산업혁명의 중심도시로 도약시킬 수 있도록 잘 살펴가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