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멸종위기종 저어새 보존 국제 네트워크 구축…인천과 홍콩 습지 간 자매 서식지 협약

인천시가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홍콩 정부와 정보 교류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백현 인천시 환경국장과 량슈휘 홍콩특별행정구 농어업자연보전국장은 27일 인천 연수구 송도 G타워에서 ‘인천 송도 갯벌과 홍콩 마이포 습지 간 자매 서식지’ 협약을 했다.

협약에 따라 양측은 저어새 등 이동성 물새 보존을 위한 공동 연구와 상호 협력, 송도 철새 대체 서식지 조성을 위한 홍콩 정부의 경험 공유를 강화할 방침이다.

저어새는 전 세계 개체 수가 4천여마리에 불과한 여름 철새로, 전체의 약 80%가 인천 무인도 등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홍콩·대만 등 동남아지역에서 월동한다.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에서 지정한 멸종위기종 1급이며 국내 천연기념물이다.

시는 저어새 보호를 위하여 서로의 활동사례를 공유하고 정기적인 포럼, 전문가 모니터링, 학생·시민들의 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중국·일본·대만 등 국제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2020년엔 남동유수지 저어새 번식지 인근에 생태 학습장을 건립해 저어새네트워크 등 환경단체들의 학생과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홍보를 활성화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장기적으로 이곳을 철새 생태공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협약을 기념해 오는 29일까지 G타워에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함께 ‘송도 물새 습지 조성 방안 국제 콘퍼런스’를 연다.

백 환경국장은 “송도 철새 대체서식지 조성으로 개발과 자연환경이 균형을 이루는 글로벌 생태도시로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