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 주제·500여명 도민 토론 참여… 6·7일 소통의 장 활짝
갈등 해결 위한 다양한 목소리 수렴·사회적 합의 큰 틀 마련
道, 최우수·우수상 등 시상 진행… 향후 도정 반영도 검토
“경기도민의 참여로 완성될 숙의 민주주의의 축제, 갈등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경기도를 만듭니다”
경기도는 인구가 많고, 31개 시ㆍ군의 개성도 강하다. 전국 최대 지자체이면서 다양한 구성원이 모이다 보니 갈등도 빈번하다. 민선 7기 경기도는 이러한 갈등의 고리를 끊기 위해 숙의 민주주의를 주목하고 있다. 도민이 특정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충분히 의논하는 ‘숙의’를 통해 능동적 주민협치를 이끌어 지속 가능한 도정을 실현한다는 복안이다. 숙의 민주주의를 구체화하는 경기도의 첫 번째 프로젝트, ‘제1회 경기도민 정책축제-나의 경기도’가 이달 6~7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이에 정책축제를 총괄 중인 서남권 경기도 소통협치국장을 만나 이번 행사의 의미와 내용을 들어봤다.
- 1천300만 경기도민에게 이번 정책축제의 의미는.
경기도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갈등상태는 심각하다. 충돌하는 사안에 대한 사회적 포용도가 20%다. 캐나다(74%), 미국(47%), 독일(47%), 일본(37%) 등 해외 어느 나라보다 낮다. 이처럼 ‘다름’을 받아들이지 못하니 정치, 빈부, 세대, 성별 등 각종 사안에서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갈등 해결의 기본은 소통이다. 그래서 소통의 장, 경기도가 주최하니 민선 7기 경기도정과 연계된 토론의 장을 준비한 것이다. 도민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수렴, 사회적 합의의 큰 틀을 마련하려고 한다. 또 단순 이벤트가 아닌 숙의 민주주의 중심으로서 지속하기 위해 준비했다.
- 이틀간 정책축제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도민이 준비하고, 도민이 진행하고, 도민이 완성한다. 우선 ‘정책 토론회’는 온라인 플랫폼과 도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16개의 토론 주제를 선정했다. 예술인 기본소득, 3기 신도시, 사회적 일자리, 외국인 혐오 등 다양하고 도민의 삶과 직접 연결된 사안이다. 경기도가 독단적으로 준비했다면 포함이 안 됐을 수도 있는 민감한 주제도 있다.
첨예한 의견 차이가 있겠지만 스웨덴 ‘알메달렌’과 덴마크 ‘폴케뫼데’ 행사처럼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소통의 장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500여 명의 도민이 주제당 30여 명으로 나뉘어 여기저기에서 토론을 벌이는 진풍경이 펼쳐질 것이다. 이어 청년을 주제로 한 ‘우리 이야기’,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MC 김제동씨가 함께 하는 ‘나의 경기도(경기도 핫이슈 토크 콘서트)’ 등도 주요 일정이다.
- 특별히 강조하고 싶은 섹션이 있다면.
정책축제 모든 내용이 유익하겠지만 7일 마련된 시ㆍ군 열린 토론회를 소개하고 싶다. 숙의 민주주의를 위해 반년 간 준비했기 때문이다. 5개 시ㆍ군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 시민과 수차례 의견을 교환했고, 그 최종 토론회가 이번 정책축제에 포함됐다. 안산시의 복합형 사회적 일자리센터 건립, 군포시의 스마트주차정보 시스템 구축 등 각각의 정책이 논의 속에서 어떤 변화를 겪었고 시민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지켜보면 흥미로울 것이다. 토론회 당일 경기도가 최우수, 우수 등 시상을 진행하기도 한다. 경기도는 이번 숙의 민주주의 모델을 참고로 삼아 향후 도정 반영도 검토한다.
- 끝으로 도민에게 할 말은.
민선 7기 경기도에 합류하기 전 정당 활동에서 했던 오랜 고민이 이번에 실현돼 기쁘다. 올해 처음 시도되는 경기도민 정책축제가 도민참여, 소통ㆍ공감의 모범적 사례로 지속성장할 수 있도록 초석을 다지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갈등이 심각한 사회에서 도민의 의견이 실제 정치로 실현되는 게 중요하고, 그 중심이 소통의 장이다. 올해 정책축제를 성공적으로 개최, 내년에는 더 큰 규모로 도민에게 보다 풍부한 축제를 전하는 게 목표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