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최다 승객’ 시내버스 88번… 경기硏, 9년간 교통카드 데이터 분석

부천 대장동~여의도 하루 4만318명 이용
광역버스는 수원역~사당역 운행 7770번

경기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시내버스는 부천 대장동∼여의도 구간을 운행하는 88번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북부에서 서울시로 향하는 대중교통 이용 비율도 향상돼 경기북부 지역 신도시가 자족 기능이 부족하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경기연구원은 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교통카드 자료가 알려주는 대중교통 이야기’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2010∼2018년 9년간 수도권에서 수집된 교통카드 데이터를 토대로 대중교통 이용실태와 통행량 변화 추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도내에서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시내버스는 부천 대장 공영차고지∼여의도 환승센터를 오가는 부천시 88번 버스로 하루 4만318명이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광역버스는 수원역∼사당역 구간을 운행하는 7770번(1일 1만2천20명), 마을버스는 양명고∼안양메가밸리 구간을 오가는 안양시 5-1번(1일 1만5천194명) 이용객 수가 가장 많았다.

지난해 도내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해 목적지로 이동한 이용객 수는 평일 하루 평균 495만8천 명으로 서울시(927만2천 명)의 54% 수준이다. 특히 경기에서 서울로 가는 이용객 수는 평일 하루 평균 122만8천 명으로, 도내 통행량 4분의 1이 서울로 가는 인원인 셈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시ㆍ군별 출근 시간 서울 방향 대중교통 불평등 지수(경기도→서울시 대비 서울시→경기도 대중교통 통행량 비율)는 경기남부 3.0, 경기북부 4.2로 나타났다. 경기남부는 2010년과 유사하지만 경기북부는 2010년(3.5)보다 증가했다. 이는 경기북부가 경기남부보다 서울로 통행하는 대중교통 인원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기북부의 남양주 별내신도시, 양주 옥정신도시, 파주 운정신도시 등의 입주로 베드타운 기능은 강화됐는데 자족 기능은 낮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구를 수행한 김채만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수도권 3기 신도시는 대중교통 불평등 지수를 낮출 수 있도록 자족형 도시로 개발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대중교통 수급불균형을 해소하고 대중교통 운영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