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주무관 2명이 정부사업ㆍ기관유치 등 동분서주
화려한 청사진 실현할 인력 태부족… 업무한계 우려
연간 70조 원 규모의 ‘수소 경제 시대’를 앞두고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인 투자 공세가 예측되지만 경기도는 이에 대응할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담 조직 없이 주무관 2명이 정부 사업ㆍ기관 유치, 산업 기반 조성 등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경기도가 내년부터 생태계 구축에 본격 나설 예정이지만 현 조직에서는 물리적 한계가 올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해 6월 ‘3대 전략 투자 분야’에 빅데이터ㆍ인공지능과 함께 수소 경제를 선정한 지 1년 6개월이 지났지만 도는 아직도 기후에너지정책과 내 전담팀 없이 2명의 주무관이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수소 경제는 미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사인 맥킨지가 2050년 한국 수소 비전에 대해 연간 70조 원의 경제효과와 60만 명 고용 창출로 전망했다. 이에 맞춰 정부도 올 초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수립한 데 이어 내년도 예산안에 수소 경제 직접 사업으로만 19개(5천590억여 원)를 제출했다. 이 중에는 수소생산기지 구축 공모, 수소도시 지원, 수소차 보급 등 도가 유치 혹은 예산 지원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할 사안도 다수 있다.
그러나 현 조직 규모로는 한계점이 명확하다. 도청 내 전담 조직이 부재하고 전문 지원기관도 없어서다. 강원도(수소산업팀 6명, 강원테크노파크), 충청남도(수소에너지팀 4명, 충남테크노파크), 울산시(수소산업팀 5명, 울산테크노파크) 등 경쟁 지자체와 비교하면 조직력이 크게 떨어진다. 도내 기초지자체인 화성시도 수소에너지팀 3명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조직 규모는 도가 수소 경제의 최대 수혜처로 분석된다는 점과 대비된다. 도는 인구(전국 25%), 제조업(전국 35%), 자동차(24%) 등 각종 지표에서 전국 1위를 기록하며 광대한 수소 경제 수요가 전망된다. 특히 전국에 4개뿐인 평택 LNG인수기지를 활용해 도내 곳곳에 수소생산기지를 건설할 수 있다. 수소충전소부지로 적합한 CNG(68개소)ㆍLPG(448개소) 충전소도 전국에서 가장 많다.
올해까지는 인원 부족에 따른 문제점이 도출되지 않았지만 내년부터는 추진력 부족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도가 지난 9월 수립한 ‘수소에너지 생태계구축 기본계획’에 담긴 과제만 20개로 예산 규모가 3년간 6천900억 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현재 계획으로는 수소차 확대 등 일부 과제를 미세먼지대책과와 공조할 예정이지만 수소교통도시 구현, 수소클러스터 육성, 수소박람회 개최 등 대형 정책사업 성과에 의문점이 제기된다.
도 관계자는 “최근 내부적으로 조직 신설 및 인력 증원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며 “다만 아직 명확히 정해진 것은 없다”고 밝혔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