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 의대 이윤환 교수팀, 노년기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조기 사망률 낮추는 데 기여

▲ 이윤환, 이경은 연구팀

만 66세 노인 인구가 받는 노년기 ‘생애 전환기 건강검진’이 노인의 조기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젊은 연령층뿐 아니라 노인 인구에서도 건강검진을 적극적으로 하는 게 관리에 큰 도움이 된다는 뜻이다.

■미수검자 집단, 수검자 집단보다 사망률 38% 높아

8일 아주대 의대에 따르면, 예방의학교실(노인보건연구센터) 이윤환 교수팀(이경은 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 코호트에 등록된 2007~2008년 생애 전환기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 추적 관찰해 누적 생존율(사망률)을 확인했다.

건강검진 수검자 집단과 미수검자 집단은 각각 1만 1천986명으로, 성별, 소득수준, 생활습관 및 만성질환 유병상태가 비슷한 노인인구 집단으로 비교했다.

그 결과 전체사망률은 미수검자 집단이 수검자 집단보다 약 38%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 이번 연구결과에서 사망률뿐만 아니라 같은 기간에 국민건강보험에 청구된 의료비를 살펴보면, 생애 전환기 건강검진 수검자(1인당 6천642달러)가 미수검자(1인당 6천754달러)보다 112달러 (약 12만 원) 정도 적게 지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젊은 연령뿐만 아니라 노년층도 건강검진 적극적으로 받아야

‘노년기 생애 전환기 건강진단’은 국가가 만 66세 인구를 대상으로, 노쇠의 조기 발견을 통해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시행하는 ‘예방적 선별검사사업’이다. 검사항목은 하지 기능, 인지기능, 배뇨기능, 일상생활기능 평가 및 골밀도 검사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연구결과 만 66세 이상 생애 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은 비교적 건강한 노인 인구에서 조기 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 의료비 지출도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젊은 연령층뿐 아니라 노인 인구에서도 건강검진을 적극적으로 받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이윤환 노인보건연구센터 교수팀은 “지금까지의 연구가 주로 입원환자와 같이 노쇠한 노인에서 신체적 기능평가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주로 보고해 왔다”며 “이번 연구는 건강한 노인에서 신체기능평가의 중요성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근거로서 가치 있는 연구결과”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19년 7월 <노년기 국가검진에 참여한 노인의 5년 생존율: 코호트 연구ㆍFive-year survival rate among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geriatric screening program: A South Korean population-based cohort study)란 제목으로 SCI 등재 학술지, 노인학 및 노인병학(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에 게재됐다. 또 지난달 16일 열린 대한노인병학회 제64차 학술대회에서 우수연구상을 수상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