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월만에… 한일관계 해법 주목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오는 23일부터 이틀간 중국을 방문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현지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한일 양국이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건 지난해 9월 뉴욕 유엔총회 이후 15개월 만으로,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한일관계 악화에 대한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8일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한일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됐느냐’는 질문에 “앞서 아베 총리가 언급한 바가 있다. 그 내용이 맞는다고 보면 된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정확한 시간과 장소 등은 마무리가 되는 대로 공식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는 지난 13일 도쿄에서 열린 내외정세조사회 강연에서 “크리스마스 이브인 24일에는 청두에서 일중한 정상회의에 출석하고, 이 기회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리커창(李克强) 총리와도 회담하며, 문재인 대통령과 일한 수뇌회담도 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크리스마스 이브인 오는 24일 한일 정상회담이 있을 것이라는 아베 총리의 발언의 사실 여부를 청와대가 확인한 것이다.
당초 청와대는 정상회담 장소와 시간, 의제 등에 대한 양국 협의가 종료된 후 정상회담 개최 사실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의 중국 방문 일정이 가까워지면서 일단 정상회담 개회 여부 정도는 미리 공개하기로 했다.
특히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크리스마스 선물’을 교환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무엇보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악화된 한일관계를 되돌리기 위한 방안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등 현안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얼어붙은 한일 관계가 좀처럼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는 만큼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만남 자체가 나름대로 큰 의미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