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에서 경북 김천까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정밀검사를 위한 ‘300㎞ 여정’이 도마 위에 올랐던(본보 9월25일자 3면) 가운데, 앞으로는 가까운 시ㆍ도에서 ASF를 확진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우선 올해 안에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수원 금곡동)가 정밀진단기관으로 지정, 이를 시작으로 광역지자체마다 1개소씩 관련 지정 기관이 늘어날 전망이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해외 악성 가축전염병 방역실시요령’을 일부 개정했다.
그동안 정부는 ASF 농장 발병 건에 대해 사태의 심각성 등을 고려, 시료 채취 후 김천에 있는 농림축산검역본부로 가져가 정밀검사를 거쳐 확진 판정을 내리도록 해왔다. 경기도 등 지자체 승인을 받은 시험소가 부검을 거쳐 혈액 등을 채집, 바이러스 판독 실험(정밀검사)을 진행해도 최종 확진 결과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검역본부’만 발표할 수 있는 구조였다.
그러나 지난 9~10월 국내에 처음 발병한 ASF가 파주ㆍ연천ㆍ김포 등 접경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다 보니 김천까지 수백㎞를 이동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차량으로 이동 시간만 최소 4시간이 소요되는 데다가, 확진까진 8시간 이상이 걸렸다. 더욱이 이동 시간을 줄이기 위해 소방 헬기가 동원되기도 했지만, 태풍 등 기상악화 때엔 이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정밀검사 기관으로 농림축산검역본부 외에도 ‘시ㆍ도 정밀진단기관’을 추가했다.
정밀진단기관은 검역본부장이 질병별로 지정한다. 또 지정을 위해 차폐시설, 검사장비, 검사인력 등의 기준과 지정 절차, 사후관리 방법 등을 정하도록 했다.
농식품부는 이번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지역과 시설 보유 등을 고려해 우선 이달 중 수원 금곡동 소재 동물위생시험소를 지정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신속한 검사와 방역을 위해 지자체 검사기관이 해외 악성 가축전염병 정밀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광역자치단체별로 1곳씩 지정해나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