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획정 초읽기… 군포갑·을 통폐합되나 ‘촉각’

여야 4+1협의체, 지역구 253석·비례 47석 합의
타 시·도 의석수 증가 땐 경기·인천 영향 가능성
단일 선거구 중 인구수 최다 ‘세종’ 분구될 경우
인구 적은 ‘군포’ 통폐합… 이학영·김정우 경쟁

표결을 앞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조만간 선거구획정 작업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경기·인천 지역구 의석 수에 변동이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최종 의석 수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확정되지만 전국적인 선거구획정 결과에 따라 군포갑·을이 통폐합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앞서 여야 4+1(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 당권파·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 협의체는 지난 23일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수를 현행(253명 대 47명)로 유지하되, 연동률 50%를 47석 중 30석까지만 적용하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합의했다.

24일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선거구 획정 기준이 되는 인구 상·하한선은 총선 15개월 전 총 인구수를 의석수로 나눠, 의석 1석당 평균 인구수를 계산한 뒤 선거구 인구 편차 허용 범위를 2대 1로 적용해 산출한다. 본보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31일 대한민국 인구는 5천182만 6천287명이며, 253석일 경우 인구수 범위는 13만 6천565명(하한선)~27만 3천129명(상한선)이 된다.

경인지역에서는 총 11곳이 인구 허용 범위에 못 미치거나 넘는 것으로 추산됐다.

경기의 경우, 이를 통해 추산하면 ▲수원무(27만 6천61명) ▲평택을(31만 4천935명) ▲고양갑(29만 5천231명) ▲고양병(28만 1천824명) ▲고양정(27만 7천912명) ▲용인병(28만 1천871명) ▲화성을(30만 232명) 등 7곳이 상한을 넘고, 광명갑(13만 6천153명) 1곳은 하한에 미달한다.

또한 인천의 경우 ▲중·동·강화·옹진(27만 9천494명) ▲남동을(27만 5천461명) ▲서갑(29만 1천139명) 등 3곳이 상한 인구수를 초과했다.

이들 11곳의 지역구는 상·하한 인구수를 벗어나지만 실제 선거구가 통폐합되거나 분구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해당 지역구의 경우 인접 지역구와의 미세 조정을 통해 분구 또는 통폐합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만 선거구획정 과정에서 타 시·도 의석 수가 증가, 전체 지역구 253석을 초과하면 경인지역 의석 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관련, 단일 선거구 중 인구수가 가장 많은 세종(31만 6천814명)은 분구가 불가피하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만약 세종이 분구되면 선거구가 둘 이상으로 쪼개져 있는 지자체 중 인구가 적은 군포, 부산 남구, 여수, 익산 등이 통폐합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 중 군포는 갑(13만 8천410명), 을(13만 8천235명)을 합쳐도 27만 6천645명에 불과, 부산 남구(27만 9천470명), 여수(28만 3천114명), 익산(29만 3천201명)보다 적다.

군포갑·을이 통폐합될 경우 한솥밥을 먹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이학영(군포을)·김정우 의원(군포갑) 간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