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도의회, 1천명 인식조사… 78% “서비스 존재 몰라”
고령 1인 가구·고독사 증가… 사회적 약자 위한 복지
도의회 기획재정위 “공영장례식장 확대 조례 추진”
고령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고 고독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는 가운데,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공영장례 서비스를 경기도가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기도와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는 지난 10월 11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거주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경기도 공영장례식장 제도 마련을 위한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공영장례 서비스는 고독사나 무연고 사망자, 저소득층 국민을 위해 장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먼저 공영장례 인지 여부 및 도입 필요성에 대한 조사에서 ‘공영장례 서비스의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는 응답이 78.1%에 달해 10명 중 8명이 공영장례 서비스를 모르고 있었다. 하지만 경기도가 공영장례 서비스를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은 89.3%로 10명 중 9명이 찬성했다. 특히 지원의 필요성은 성별, 연령, 권역, 직업에 상관없이 80~90%대에 육박했다.
아울러 지원 이유와 관련, 도민의 68.6%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이기 때문에’라고 응답했다. ‘가족 및 사회공동체의 복원을 위해’(15.8%), ‘망자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이기 때문에’(14.4%)라는 응답도 나왔다.
이와 함께 공영장례 지원 대상에 대해서는 ‘유족이 미성년자이거나 장애인밖에 없는 사망자’가 90.9%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독사 사망자’ 80.6% ▲‘무연고 사망자’ 79.3% ▲‘기초수급대상자 및 차상위 계층’ 63.5%’ 순이었다.
특히 공영장례 지원 방식에 대해서는 인력이나 물품 등 현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이 70.7%, 소요비용을 현금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이 29.3%였다. 또 공영장례 지원 권한에 대한 질문에는 ‘도청 내 지원부서에서 주요 업무 처리’ 71.4%, ‘장례지원 비영리단체에 주요 업무를 위탁’ 28.6%로 답변했다.
이런 가운데 현재 도내 공설 장례식장은 경기도의료원 수원ㆍ이천ㆍ안성ㆍ의정부ㆍ파주ㆍ포천병원 등 6곳이며, 시ㆍ군별로 수원시 연화장ㆍ성남시 영생관리사업소ㆍ용인시 평온의 숲 등 3곳이 있다.
이와 관련, 정승현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안산4)은 “화장률이 높아지는 데 반해 공영장례식장은 한정돼 있다”며 “타 지자체 시민이 이용하면 원거리 불편 및 비용 부담 등이 발생해 공영 장례식장 확대를 위한 조례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