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당 가산점에도 도내 청년 예비후보자 출마율 10% 안팎 그쳐
기성 정치인에 조직력·자금·인지도 열세… 정치토양 변화 필요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21대 총선 공천 혜택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각 당의 경기도 내 청년 예비후보자 출마율은 10% 안팎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성 정치인에 비해 조직력과 자금, 인지도 면에서 열세에 처한 청년 정치인들이 국회 입성은 엄두도 못 내고 좌절을 겪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5일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과 한국당은 청년 정치인 발굴을 목적으로 후보공천 경선과정에서 ‘가산점 제도’를 내세우고 있다.
우선 민주당은 당헌·당규상 만 45세 이하를 청년으로 규정하고, 공천 과정에서 최대 25%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지원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가산점 혜택이 돌아갈 예비후보자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민주당 예비후보자 중 도내 만 45세 이하 청년 정치인은 69명 중 5명(7.2%)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청년 등록자 5명 중 3명은 총선을 치르는 오는 2020년에 청년 기준 나이를 넘기게 된다. 즉, 나이로만 봤을 때 공천 가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청년 후보자는 현재까지 의왕·과천 지역구에 출마한 오동현 예비후보(42), 김포을 지역구에 출사표를 던진 노승명 예비후보(38) 등 단 두 명에 불과하다.
한국당 역시 당헌·당규를 통해 만 45세 미만을 청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만 4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는 공천 과정에서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이날 기준으로 도내 만 45세 미만 청년 등록자는 고양을 박상준(43)·성남분당을 김민수(41)·광명을 김기윤(40)·의정부을 이형섭(40)·김포갑 박진호(30)·하남 이창근(45)·의왕·과천 한승주 예비후보(36) 등 7명에 불과했다. 이는 도내 전체 한국당 예비후보자 52명 중 13.5%에 불과한 수치다.
아직 예비후보 등록 일정이 초반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민주당과 한국당의 청년 예비 후보자와 비(非)청년 후보자 간 규모의 격차를 완전히 줄이기는 쉽지 않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기성 정치인이 장악한) 제도권 정치 영역이 유지되고 있는 만큼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기회가 부여될 것이냐는 회의감이 클 것”이라며 “청년들이 조직화해 정치세력화를 이뤄야 하고, 정당 역시 청년위원회와 청년 당원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