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 스마트산단 사업단 구성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인천시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은 2월 초까지 사업단 구성을 마무리하고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5일 시 등에 따르면 공단은 지난 3일 남동스마트산업단지 사업단장 공고를 내고 민간 전문가 모집에 들어갔다.
공단은 서류전형과 면접 등을 거쳐 오는 2월 3일 사업단장을 선임할 계획이다.
앞서 2019년 12월 시와 공단은 협의를 거쳐 사업단 인력 구성을 마쳤다.
남동산단 스마트사업단은 단장을 포함해 시 2명, 공단 2명, 인천테크노파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하대, 인천스마트시티㈜, 남동구청 각 1명 등 총 10명이다.
당초 시와 산단공은 산업통상자원부 계획에 따라 사업단을 15~20명으로 구성할 계획이었지만,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자 사업단을 축소한 상태로 사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시와 공단은 민간 전문가 단장을 선임하는 대로 스마트산단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관련 사업으로 확보한 예산 245억원에 더해 오는 6월까지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해 추가 예산 확보에 들어갈 예정이다.
스마트산단은 스마트공장 보급과 지능형 교통시스템 구축, 사물인터넷(IoT) 기반 편의시설 확충 등 노후화한 산단을 미래형 산단으로 개선하는 사업이다.
산자부는 2019년 10월 경북 구미산단과 함께 남동산단을 2020년 스마트산업단지로 선정했다.
스마트산단화가 이뤄지면 기존 전통 제조업 위주의 산업에서 융복합 산업클러스터 생태계가 들어설 전망이다.
또 공공창업지원센터와 통합복지센터 등 노동자의 작업환경도 대폭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최대한 빠르게 세부시행계획을 세운 뒤 기획재정부 등 관련부처 심의를 밟아 추가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아직 세부시행계획이 나오기 전이라, 전체 예산규모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시는 남동산단 재생사업지구 복합용지 개발사업도 본격화한다.
시는 오는 4월 6일까지 민간 공모를 통해 재생사업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남동산단은 그동안 공장위주의 토지활용으로 시설간 융복합입주가 어려운데다 작업장과 생활편의시설이 멀어 노동자의 근무환경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시는 복합용지제도 도입취지와 산업 환경 변화에 맞춰 기존 제조시설 중심의 산업시설용지를 ‘산업+상업+주거+지원시설’로 바꿔 노후화한 산단 환경을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이남주 시 산업진흥과장은 “남동산단은 용지별 입주가능시설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경쟁력이 크게 떨어진다”며 “이번 복합용지 공모를 통해 부족한 지원시설과 편의시설을 확충해 노후화한 산업단지에 활력을 불어 넣겠다”고 했다.
강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