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그동안 국기게양대에 관행적으로 세워오던 새마을기를 내리기로 결정한 가운데, 도ㆍ새마을단체가 ‘사전 협의’ 여부를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새마을단체는 도의 결정이 일방적 통보에 그쳤다며 국내외 새마을운동에 악영향이 미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6일 경기도와 경기도새마을회 등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4월 도청사에 걸린 새마을기를 내리고 세월호기를 게양했다. 당시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는 ‘깃발의 다양화’ 차원이었지만 일각에서는 군사정권의 잔재를 지우고 유신정권의 산물을 없애기 위한 초석이 아니었느냐는 의혹을 제기하는 분위기였다.
이에 경기도새마을회는 5월 말 경기도를 방문, 이재명 경기지사를 만나 새마을기가 내려가는 데 대해 반발 의사를 전했다. 그 후 도는 약 2개월여 만에 결정을 철회하고 다시 새마을기를 상시 게양키로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난 5일께 도는 다시 새마을기 상시 게양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44년 만에 공식적으로 내린 이 결정은, 새마을기를 내리고 세월호기ㆍ한반도기ㆍ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기(도정 브랜드) 등을 주요 기념일에 맞춰 때에 따라 올린다는 것이 골자다. 즉 4월 세월호 참사 추모 시기엔 세월호기를, 남북 평화 기류가 있는 시기엔 한반도기를 올린다는 식이다.
이날 이 지사는 페이스북을 통해 “모든 일에 명암이 있듯 새마을운동에도 공과가 있다”며 “재작년과 작년에 걸쳐 새마을기의 국기게양대 상시 게양 중단과 타 단체기의 동등한 제한적 게양을 양해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새마을 회원들의 헌신과 그간 새마을운동의 공을 높이 인정하고 새마을회의 새로운 지향을 지지 응원하며 새마을기 상시 게양 중단을 수용해주신 것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새마을회 측은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이다. 특히 경기도의 결정이 타 시ㆍ군은 물론 전국적으로 여파가 미칠 것을 우려, 현재 새마을회가 새마을운동을 전파하고 있는 몽골ㆍ네팔ㆍ미얀마 등 해외 53개국까지 타격을 입을까 걱정하는 분위기다.
경기도새마을회 관계자는 “지난해 경기도와 협의했던 내용과 이번 도의 결정은 다른 사안”이라며 “(협의 당시) 특별한 날이 있을 때 다른 깃발을 올리는 것에 동의했지만 새마을기를 아예 내린다는 의미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어 “새마을기는 ‘새마을 단체를 홍보하는 기’가 아니라 가난과 고통을 극복한 ‘새마을운동을 상징하는 기’라 그 의의가 깊은데 새마을운동의 중심인 경기도에서 이런 일이 생겨 상당히 불쾌하다”며 “국내외 파급 영향 등을 고려해 향후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게양을 전면 중단하는 것이 아니고 짝수달엔 새마을기를, 홀수달엔 다른 기를 세우기로 한 것이다. 지난해 관련 단체와 모두 협의가 됐다”며 “역사적 문제와는 관련이 없으며 도정 핵심가치를 알리자는 취지”라고 밝혔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