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수원시 공유 자전거, 빨리 재가동 해라

자전거 생활화는 수원시의 오랜 정책 목표였다. 90년대 이미 자전거 타기 운동을 시작했다. 2000년 들어 자전거 인프라를 완성했다. 그 중 단연 돋보인 정책은 ‘공유 자전거’ 도입이다. 기존 거치대 중심의 관리가 아니었다. 사용자가 편한 곳에 세워두는 신개념 방식이었다. 앱을 통한 위치 추적 시스템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시민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앱 가입자 수만 32만명에 달했고, 누적 이용횟수가 500만회를 넘었다.

그랬던 이 제도가 지금은 안 보인다. 세계적 기업인 운영사가 지난해 9월 철수했다. 5천대가 한꺼번에 사라지자 시민들이 크게 실망했다. 특히 주요 이용자였던 학생 등 젊은 층의 아쉬움이 컸다. 이 제도에 자긍심을 가졌던 시민들의 실망도 있다. 서울 공유 자전거 ‘따릉이’ 보다 선진화된 시스템이었다. 전국 공유 자전거 도입에 선도적 역할을 했던 제도다. 좋았던 제도였던 만큼 아쉬움이 크다. 벌써 넉 달째 이러고 있다.

시가 손 놓고 있지는 않다. 여러 대안이 준비되고 있다. 지난해 9월 새로운 업체의 시범 운행도 했었다. 여기서 통신의 문제 등이 발생했고 23일만에 중단됐다. 시가 중점을 두는 선정 기준은 두 가지다. 가급적 예산을 절감해야 한다는 것이 하나고, 거치대 없는 접근성이 보장돼야 한다는 것이 다른 하나다. 시 관계자는 “수원시가 찾는 공유 자전거 시스템은 다른 지자체와 수준이 다르다. 시민들의 요구 수준 역시 높다.”

한 때 완전히 수원시가 운영하는 방법도 검토됐다고 한다. 문제는 예산이다. 6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왔다. 최근, 조건을 충족하는 국내 업체가 정해졌다는 얘기가 들린다. 봄을 전후해 2,3천대 가동이 가능할 것 같다는 전망이다. 계획대로 추진되길 바란다. ‘위성이 찾아 주는 수원시 공유 자전거’는 수원시민의 자긍심이다. 갑작스런 공백으로 아쉬워하는 시민이 많다. 공유 자전거 도시의 모습을 속히 되찾아야 한다.

얻어야 할 교훈이 있다. 행정에 대한 시민 눈높이는 뒤로 가지 않는다. 수원시가 좋은 시스템을 도입했다. 그랬으면 지속 가능하도록 추적하고 대응했어야 했다. 이게 부족했던듯 싶다. 업체가 해외 사업 철수를 시작한 건 2018년이다. 수원에서 철수한 건 2019년 9월이다. 그때부터 새 업체 선정, 시범 운행 등을 서둘렀어야 했다. 그랬으면 지금의 공백을 조금 줄일 수 있지 않았겠나. 좋은 정책의 좋은 연결을 기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