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DMZ 포럼’이 지난해보다 한 단계 도약한 모습으로 전 세계인을 맞이한다.
경기도는 북한 총리급 인사 초청, 판문점 방문 등을 추진해 분단ㆍ전쟁의 상징이었던 DMZ를 생명ㆍ평화의 공간으로 재정립한다는 복안이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2020 DMZ 포럼 기본 계획안’을 수립, 오는 9월17~18일 양일간 킨텍스에서 열릴 DMZ 포럼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DMZ 포럼이란 도가 지난해 9ㆍ19 평양 공동선언 1주년을 기념하며 처음 마련한 국제 포럼이다. 포럼의 목적은 ▲남북평화협력과 DMZ의 평화적 활용을 위한 국제적 담론 형성 ▲DMZ의 생태ㆍ관광ㆍ지역현안을 아우르는 의제 설정 등이다. 지난해에는 ‘DMZ, 냉전의 유산에서 평화의 상징으로’를 주제로 판티 킴 푹 인권운동가(베트남 전쟁의 참상을 알린 ‘네이팜탄 소녀 사진’의 주인공) 등이 기조 연설자로 참여했다.
올해 행사도 지난해처럼 ‘평화’를 강조하는 가운데 외연 확장 및 지속성 보장을 특별히 고려하기로 했다. 남북 군사적 긴장 완화ㆍ남북교류협력 사업 재개ㆍ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등의 과제가 단기간 이뤄지기 어려운 만큼 DMZ 포럼의 장기 진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해 경기도ㆍ경기연구원 위주로 진행된 행사를 넘어 중앙정부, 경기도교육청, 시ㆍ군, 민간학회 등의 참여를 유도해 DMZ 포럼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아울러 유엔사령부와 협의가 필요할 정도로 어려운 과제이지만 해외 평화 인사들의 판문점 방문도 추진한다. 지난해 임진각, 대성동 마을 순회를 통해 전한 감동을 판문점에서도 전 세계에 뻗치겠다는 방침이다.
초청 인사 라인업도 UNEP(유엔환경계획) 대표, UNESCO(유네스코) 사무총장, 세계 DMZ 네트워크 대표 등의 명단을 올리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북한 총리급 인사도 포함, 실제로 성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현재 북한 총리급 인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이어 ‘2인자’인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다.
도 관계자는 “남북평화협력과 DMZ 생태ㆍ평화ㆍ활용 관련 국내외 전문가, 학계ㆍ단체 등이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 포럼을 준비하고 있다”며 “단순 유명 인사뿐만 아니라 평화에 대해 대중과 감성적 소통을 할 수 있는 인물도 초청, 전 국민이 참여하는 지속적인 논의의 광장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DMZ 포럼에서 이재명 도지사는 ▲도민이 참여하고 혜택받는 남북교류 ▲중앙정부와 상생하는 남북교류시대 ▲국제사회와 함께하는 남북교류 등 ‘경기도형 남북교류의 3대 추진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