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추진하는 세계화교육 공모사업이 이름만 바꾸는 ‘재탕식’ 반복에 그치면서 일선학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2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세계화 교육은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국제교육·문화교류 등을 통해 국제화 시대에 맞는 시민의식을 키우는 사업이다.
하지만 국제문화교류학교, 글로벌이해학교, 세계시민학교, 세계시민선도교육학교 등 비슷한 사업을 반복하면서 경쟁력을 잃고 있다.
도성훈 교육감의 공약사항인 국제문화교류학교 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사업은 청소년 국제교류 활성화를 목표로 2019년 교육국제화특구(연수구, 서구, 계양구) 내 학교 12곳을 선정해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6개월만에 흐지부지됐다.
2013년부터 진행 중인 세계시민학교와 2018년 시작한 세계시민선도교육학교 등 다른 사업과 성격이 겹치면서 공모에 지원한 학교가 1곳에 그
친 탓이다.
연수구의 한 학교 관계자는 “이름이 조금씩 다르지만 결국 세계화교육이라는 큰 범주에서는 거의 비슷한 사업”이라며 “어차피 규정상 기존 사업과 중복으로 지원할 수도 없는데 굳이 해오던 사업을 포기하고 처음부터 공모를 준비해 다시 지원할 이유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서구의 학교 관계자 역시 “시민학교와 관련해 새로운 사업 공모가 나올 때마다 뭐가 다른 것인지 몰라 혼란스럽다”며 “지원예산도 2천만원 안팎으로 엇비슷하기 때문에 새로운 시민학교 공모에 지원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했다.
학교 현장의 공감을 얻지 못한 채 자취를 감춘 국제문화교류학교 사업은 2020년 동아시아 시민학교라는 이름으로 다시 등장했다.
기존사업과 달라진 것은 대상지역을 교육국제화특구에서 인천 전역으로 확대하고 국제문화교류 국가를 동아시아로 한정한 것이 전부다.
이러한 시교육청의 ‘재탕 사업’을 두고 일부 학교에서는 공약이행 평가를 의식한 꼼수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는 매년 시교육청이 홈페이지에 공개하는 공약이행평가를 토대로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의 공약 실천율을 분석한다.
시교육청에서 참여율이 떨어지는 기존 국제문화교류학교 사업을 동아시아 시민학교 사업으로 둔갑하고 공약 추진 기록을 이어간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시교육청에서는 사업마다 초점을 두는 분야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고 해명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국제교류’ 분야는 세계시민학교는 전체 예산의 10%만 사용할 수 있지만, 국제문화교류학교는 30% 내외로 쓸 수 있다”며 “사업별 차별점을 강화할 수 있도록 고민하겠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