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도권에 공급된 공공임대 주택이 전체 공급물량의 6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ㆍ도별 공급량을 보면 경기도가 4만 7천 채로 가장 많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수도권에 공공임대주택을 8만 4천 채 공급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공급된 공공임대주택 13만 9천 채의 60%에 달하는 것이다.
시ㆍ도별 공급물량을 보면 경기도가 4만 7천 채로 가장 많고 서울이 2만 8천 채, 인천 8천 채, 경남 7천 채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작년 공공임대 주택을 목표치보다 3천 채 추가 공급했다. 2017년 11월 주거복지로드맵과 2018년 7월 신혼부부ㆍ청년 주거지원방안에서 제시된 목표치는 총 13만 6천 채다. 계층별로 보면 청년층이 2만 8천500채, 신혼부부 4만 4천 채, 고령자 9천500채, 일반 취약계층 5만 7천 채 등이다. 모두 주거복지로드맵 등에 따른 계층별 목표를 달성했다.
청년에게는 기숙사형 청년주택을 서울 개봉동에 처음 공급한 것을 시작으로 총 8곳에 1천16채를 공급했다. 젊은 창업가와 중소기업 근로자 등을 위한 일자리 연계형 행복주택도 2만 8천500채 공급해 청년 주거지원을 강화했다. 신혼부부에는 지원대상과 지원주택 유형을 확대한 ‘신혼부부 매입ㆍ전세임대 Ⅱ’ 유형을 신설해 9천 채를 공급했다. 국토부는 매입임대에 입주한 신혼부부의 육아 부담을 덜어주고자 아이돌봄시설 10곳도 공급했다.
고령자에 대해선 사회복지관과 무장애 설계가 적용된 임대주택을 복합 건설해 주거와 복지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고령자복지주택 6곳을 공급하기도 했다. 6곳의 고령자복지주택은 세종 신흥(80채), 부안 봉덕(80채), 안동 운흥(150채), 수원 광교(152채), 보은 이평(100채), 옹진 백령(72채) 등이다.
지난해 공급된 공공임대는 유형별로 건설임대주택이 6만 채, 기존 주택을 매입해 공급하는 매입임대는 3만 1천 채, 기존주택을 임차해 재임대하는 전세임대가 4만 8천 채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올해에는 작년 목표치보다 5천 채 많은 14만 1천 채를 공급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현 정권이 2022년까지 공급하는 공공임대는 총 70만 2천 채다.
주거복지로드맵 수립 당시 장기 공공임대 재고율(2016년 기준)은 6.3%에 불과했지만 2017년 6.7%에 이어 2018년 7.1%까지 상승했다. 작년 재고율은 7.5%로 추정되며, 올해 말에는 OECD 평균인 8%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요가 많은 도심 내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지자체와 긴밀히 협의해 대상부지를 발굴하고, 적극적으로 임대를 공급하는 지자체에는 포상하는 등 혜택도 부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