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 여성 장신구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경기도박물관 <조선시대 17세기 여성 장신구 옥나비 떨잠에 진주낭 차고> 발간

 

▲ 옥나비 떨잠에 진주낭 차고-책자 표지

조선 중기 여성의 장신구를 확인하고, 제작기법과 재현에 따른 연구 내용을 담은 연구서가 발간됐다. 조선시대 장신구의 비교·연구 대상이 부족했던 한계점에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은 최근 <조선시대 17세기 여성 장신구 옥나비 떨잠에 진주낭 차고>를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서는 조선 시대 성천부사를 역임한 심익창(1652~1725)의 부인 성산이씨(1651~1671)의 무덤에서 출토된 장신구를 중심으로 연구 및 재현과정을 담았다. 장신구는 2008년 청송심씨 인수부윤파 문중의 묘역 정리 과정 중 발견됐다. 성산이씨 묘 출토 장신구는 현재까지 조선 중기 여성의 장신구를 실물로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인만큼 가치와 의미가 매우 크다는 평이다.

심익창은 효종대 영의정을 지낸 만사 심지원(1593~1662)의 아들이며 그의 형은 효종의 딸인 숙명공주와 혼인한 청평위 심익현(1641~1683)이다. 성산이씨는 14세에 당시 왕실과 친밀한 관계였던 청송심씨 가문에 시집와 7년 만에 후사도 없이 죽었다. 그때 나이가 21세였다. 이 때문인지 성산이씨 묘에서는 공주조차 왕명으로 엄금했던 자수치마와 금실로 봉 무늬를 넣어 장식한 스란치마, 자수주머니 6개를 비롯한 노리개, 비녀, 가락지 등 당대 최고 수준의 복식과 공예품이 부장돼 있었다.

▲ 진주낭-이미지
▲ 진주낭

장신구에는 왕실 여성의 예복에 착용한다는 ‘진주낭’과 자라 모양을 한 데서 이름 지어진 ‘자라줌치’ 등이 있다. 또 비녀와 장식용 비녀인 떨잠, 노리개로 한 쌍의 가지모양 장식이 달린 ‘수정쌍가지’와 용머리 장식이 달린 ‘도금장용두’, 가락지에는 보석을 끼운 ‘밀화장도금지환’과 ‘도금옥지환’ 두 쌍이 있다.

발간서는 이들 장신구를 중심으로 장신구의 특징 분석 및 각각의 명칭을 규명했다. 또 유물의 고화질 사진과 전통 장인이 재현한 유물 제작기법이 도면과 함께 수록됐다. 수와 매듭의 연구 내용과 주머니의 실물 크기 자수본과 주머니 도면을 넣어 ‘수주머니’를 제작해 볼 수 있도록 한 것이 이 책의 특징이다. 책자는 경기도박물관 뮤지엄숍에서 구입할 수 있다.

경기도박물관 관계자는 “조선시대 장신구의 비교·연구 대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공예기술을 발전시키고 전승하는 데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조선 중기 명품 장신구의 진면목을 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