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인천항 해양지형조사를 통해 선박 통항 안전성을 확보한다.
인천해수청은 인천항 내 선박안전사고와 항로매몰을 예방하고자 ‘인천항 해양수리환경조사 및 이용고도화 용역’에 착수했다고 13일 밝혔다.
해양수리환경조사는 정기적으로 조사선 등을 이용해 해양의 파랑 및 해류현상, 해저지형 특성 등 해양환경변화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최근 지구온난화 영향과 대규모 항만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인천항 제1항로 주변에 모래톱(바다에서 모래나 흙 등이 쌓인 곳으로 주변보다 수심이 얕은 부분)이 만들어지고, 경인항 갑문 전면에 쌓인 대량의 퇴적물 등으로 선박 통항 안전성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인천해수청은 1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21년까지 해양지형조사와 해류특성 분석을 통해 침식과 퇴적의 원인을 규명, 종합적인 퇴적물 저감대책을 마련하는 중이다.
이 사업은 앞서 1차년도(2019년)에 인천항 및 주변해역의 해양지형 변화 추이 분석을 했고, 2차년도(2020년)에는 해당 지역에 발생하는 구체적인 침·퇴적의 원인을 찾는다. 이후 3차년도(2021)에는 결과를 분석해 퇴적 저감방안을 실질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인천해수청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인천경제청·인천항만공사·K-water 등 협의체를 구성, 조사자료를 공유하고 저감대책 공동이행 등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해양지형조사를 통해 실효성 있는 저감방안을 마련해 보다 안전한 인천항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