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제조업 르네상스 실현"... 4.15 총선 공약 발표

2022년까지 신산업 빅3 분야 벤처기업 250개사 발굴

더불어민주당은 16일 ‘제조업 르네상스 실현’을 목표로 산업 생태계 전반의 스마트 제조 역량을 강화하는 등의 4ㆍ15 총선 공약을 발표했다.

민주당 정책위원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10인 이상 중소제조업체 6만7천여 곳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률 100%를 달성하고, ‘제조업 혁신성장 및 경쟁력 강화 특별법’,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 혁신 촉진 특별법’ 등의 제정을 통해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2022년까지 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등 신산업 ‘빅3’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과 벤처기업 250개사를 발굴해 유니콘(시가총액 1조 원 이상의 비상장 기업) 후보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도 그렸다. 구체적으로 시스템반도체 분야 중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등에 대한 연구·개발(R&D)에는 향후 10년간 1조 원 이상 투자할 방침이다. 미래차 분야에서는 2030년 미래차 경쟁력 세계 1위를 목표로 배터리, 수소연료 전지, 차량용 반도체 등 전기·수소차 연계산업을 육성하며, 바이오헬스 분야는 2030년 제약·의료기기 세계시장 점유율 3배 확대(2030년 기준 6% 달성)를 목표로 바이오 클러스터 등 글로벌 바이오 생산허브를 구축할 전망이다.

아울러 민주당은 소재·부품·장비 산업 분야 중소기업 300곳에도 3년간 5조 원 이상 투자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에 대한 민간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매년 1천억 원 규모의 ‘R&D 펀드’를 운용하거나, 지원 규모도 올해 기준 1조 5천억 원에서 2024년 2조 5천 억 원까지 1조 원 이상 추가 확대할 계획이다. 규제 혁신에도 속도를 내 규제자유특구를 2024년까지 40곳 지정한다.

또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향후 5년간 관련 분야 중소기업 300곳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향후 3년간 5조 원 이상을 투입해 소재·부품·장비 100대 핵심품목의 공급도 안정화할 계획이다.

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