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필 앤솔러지시리즈I 마시모 자네티 & 다니엘 뮐러 쇼트

▲ 경기필 실황

경기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앤솔러지 시리즈 첫 번째 무대가 오는 27~28일 열린다. 27일 오후 7시30분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 28일 오후 8시 롯데콘서트홀에서 드보르작 <첼로협주곡>과 시벨리우스 <교향곡 제5번>을 연주한다.

경기필이 이번에 첫선을 보이는 ‘앤솔러지(Anthology)’는 문학이나 예술작품을 하나의 작품집으로 모음이라는 뜻이다. 일정한 주제를 정하고 그 주제에 따른 여러 작가의 작품을 모은 것을 말한다. 2월 공연의 주제는 민족적인 정서를 담아낸 작품들이다.

드보르작의 첼로협주곡은 첼로작품 중 역사상 최고의 명곡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첼로협주곡을 쓰지 못했다’라고 브람스가 탄식할 만큼 드보르작의 이 작품은 기술이나 내용에서 그 전부를 능가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러 작품으로 이미 세계적인 입지를 굳힌 드보르작은 미국 체류 기간에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와 현악 4중주곡 <아메리카>와 같은 명작을 탄생시켰다. 첼로협주곡도 그 기간에 거둔 귀한 결실이다. 보헤미아 민속 음악에 대한 애착이 곡에 투영돼 토속적인 분위기의 작품을 완성했다. 첼리스트로 세계적으로 이름을 떨치는 다니엘 뮐러 쇼트가 협연한다.

▲ Muller-Schott_Daniel_pc_Uwe_Arens_9_300

경기필과 마시모 자네티의 연주, 다니엘 뮐러 쇼트의 웅장하고 섬세한 첼로 소리가 어우러져 드보르작 <첼로협주곡>의 장대함과 풍부한 표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부에서는 시벨리우스의 교향곡 제5번을 연주한다. 이 곡은 시벨리우스 자신의 50번째 생일을 맞아 핀란드 정부의 제안으로 작곡했다. 1915년 헬싱키에서 초연됐고, 이후 몇 번의 개작 끝에 1919년에 최종본이 완성됐다. 작곡 당시 유럽 전체는 전쟁의 혼돈 속에 있었으며 핀란드 역시 러시아의 내정간섭, 대량학살 등으로 전쟁의 여파를 피해가지 못했다. 시벨리우스는 조국을 위한 교향곡 5번을 작곡했는데, 핀란드 작곡가만이 표현할 수 있는 조국의 자연 분위기와 정서가 녹아 들어 있다. 북유럽 특유의 흐릿한 자연 분위기와 햇살 가득한 날 호숫가에서 하늘을 향해 날아가는 백조의 모습을 연상케 하는 전원적이고 목가적인 느낌이 바로 그것이다. 여러 편성으로 나와 있는 시벨리우스 교향곡 제5번을 경기필하모닉에서는 호른 연주자 수의 확대 등 큰 편성 버전으로 선보이며 곡의 장대함을 전달할 예정이다.

관람료는 1만~6만 원이며, 문의는 경기도문화의전당으로 하면 된다.

▲ Muller-Schott_Daniel_pc_Uwe_Arens_11_300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