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국토부 이달말 실무자급 협의…5년째 표류 중인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실타래 풀까

토지 수용방식 등의 문제로 축구장 면적 50배에 달하는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사업이 5년째 교착 국면에 빠진 가운데 수원시와 국토부가 이달 말 실무자급 협의를 한다. 양 측의 올해 첫 만남인 만큼 수년째 엉킨 실타래를 풀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지 이목이 집중된다.

17일 국토교통부와 수원시에 따르면 이달 말 예정된 협의에는 수원시 도시개발과와 국토부 녹색도시과의 실무자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시는 이 자리에서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사업의 현 진행 상황을 국토부에 설명하고 의견을 주고받을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 “이달 말에 수원시와 협의 일정이 잡혀 있다”면서 “수원시에서 (어느 정도) 준비가 된 것 아닌가 싶다. 저희도 만나봐야 내용을 알 것 같다”고 말했다.

사업비 2천200억 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2014년 수원시가 권선구 입북동 일대 35만 7천487㎡(35만㎡ 그린벨트)에 에너지기술(ET), 생명공학(BT), 나노기술(NT) 등 대단위 최첨단 연구단지를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현재 토지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면서 사업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사업 부지 가운데 87%(31만 1천168㎡)를 성균관대학교가 보유하고 있는데다 그린벨트로 묶인 부지를 해제해야 하는 절차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성균관대 부지를 놓고 수원시와 성균대학 측이 토지 수용방식 등에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사업이 수년째 공회전하고 있다. 또 지난해 염태영 수원시장이 성균관대 총장과 만나 이 사업에 대한 의견을 나눴지만, 여전히 갈등의 실마리가 잡히지 못한 실정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를 만나 설명하고, 국토부의 의견을 듣고 (사업을) 진행하려고 한다”며 “시 입장에선 그전에 이 사업과 관련해 여러 문제가 있었기에 앞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 문제 소지를 원천 차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