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감염 현실화… “일반 감기증상까지 검사 확대해야”

가벼운 발열·호흡기 증상자 일반 병원 찾았다가 확진 내국인간 감염 관리 시급
‘전국 전파’ 가속화 우려 속 의료계 “방역망 더 촘촘히”

정부가 중국을 방문하지 않았어도 원인불명 폐렴에 걸렸을 시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하도록 지침을 개정(본보 6일자 1면)한 가운데 일반 감기 증상 대상자로까지 검사대상 기준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일반 감기 증상을 보인 환자들이 최종적으로 확진 판정을 받는 경우가 더러 발생, 초기 대응 실패로 인한 지역사회 전파가 가속화 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19 대응지침(제6판)에 따르면 중국(마카오, 홍콩 포함) 방문력이 있거나 확진자와 접촉 후 증상이 발현된 경우 외에는 원인불명 폐렴 등으로 ‘의사 소견’이 있을 때만 코로나19 감염 검사를 하도록 정하고 있다.

이에 각 보건소 선별진료소는 가벼운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문의에 대해 일반 의료기관을 찾아 진단을 받도록 안내하고 있다. 이미 지역사회 전파가 현실이 되면서 내국인 간 감염을 통해 환자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음에도 별도의 확인 검사를 받지 못하는 것이다.

실제 코로나19 초기 증상은 미열과 약한 기침 등 일반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탓에 전문 의료인이 아닌 경우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지난 24일 도내에서 22번째로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24세 남성ㆍ평택시 거주)는 오한 증상이 있어 평택의 한 병원을 찾았으나 코로나19 의심을 받지 않아 별도의 검사를 진행하지 않은 채 병원 밖으로 나와야 했다. 대구에서 수원을 방문했다가 확진자로 분류된 도내 24호 환자(67세 남성)도 몸에 이상을 느끼고 지난 18일부터 대구에서 감기약 처방을 받고 투약 중, 혹시나 하는 마음에 수원시 팔달구보건소를 찾아 검사를 받고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같은 문제점을 인지한 정부 역시 코로나19 확산의 중심지인 대구지역에 한해 2주 동안 감기 증상을 보이는 시민 2만8천여명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의료계는 전국 곳곳으로 코로나19 전파가 이뤄지는 상황을 고려, 감기 증상만으로도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확진자가 감기 증상만 보여 일반 병원을 찾았다가 나중에 확진 판정을 받고 해당 병원이 폐쇄되면 응급환자까지 피해가 번진다”며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할 감염병 방역이 대구지역에만 국한되지 않도록 정부의 빠른 판단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의료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항은 중앙사고수습본부와 협의가 필요하다”며 “코로나19 사례정의를 어떻게 바꿔나갈지 상황을 주시하며 계속 논의 중인 상태”라고 밝혔다.

채태병ㆍ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