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초유 유·초·중·고 개학 또 연기… 보육·돌봄 ‘비상’

정부 “23일에 개학” 전국 단위 휴업령
초교 긴급돌봄 첫날, 감염 불안에 한산
도교육청 “방역·위생 철저하게 관리”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도 등 전국 초ㆍ중ㆍ고교 개학이 또다시 연기되면서 학생들의 돌봄 문제에 비상이 걸렸다. 2일 오전 긴급 돌봄교실이 운영되는 수원의 한 초등학교에서 일부 학생들이 자습을 하고 있다. 윤원규기자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도 등 전국 초ㆍ중ㆍ고교 개학이 또다시 연기되면서 학생들의 돌봄 문제에 비상이 걸렸다. 2일 오전 긴급 돌봄교실이 운영되는 수원의 한 초등학교에서 일부 학생들이 자습을 하고 있다. 윤원규기자

코로나19 사태 확산에 따라 전국 모든 유치원ㆍ초ㆍ중ㆍ고등학교 개학이 9일에서 23일로 2주일 더 연기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전국 단위로 휴업령을 내리는 등 사상 초유의 강력 조치에 나서며 ‘긴급돌봄’을 실시했지만, 시행 첫날부터 짧은 운영시간과 감염 우려에 따른 긴급돌봄 포기가 속출하고 있어 ‘보육ㆍ돌봄대란’이 현실화 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개학을 2주일 추가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유 부총리는 개학을 예년보다 총 3주 미루는 이유에 대해 “코로나19 증가세가 꺾이는 데 지금부터 2주 동안이 중요하며, 학생이 안전하게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최소 1주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가족돌봄휴가를 최대 15일로 확대하고 유급으로 하는 방안, 돌봄교실 운영을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원칙으로 하겠다는 방안 등을 밝혔다. 향후 현장 수요조사를 통해 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하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지만, 정작 학부모들은 궁여지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긴급돌봄’이 시작된 첫날인 이날 현장에선 당초 신청자보다 참여율이 저조해 한산한 모습이었다. 오전 8시30분께 찾은 수원시 권선구의 한 초등학교는 긴급돌봄 신청 학생을 10명씩 총 4개 반을 편성했다. 그러나 오전 9시40분까지 등교한 학생은 총 6명에 그쳤다.

학부모 B씨(37)는 “맞벌이 부부라 아이를 맡길 수도, 안 맡길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맞벌이 부부 휴가 지원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학교 관계자는 “학부모들이 집이 더 안전하다고 판단하거나 재택근무가 가능해진 탓에 당초보다 학생 수가 줄었다”며 “미리 학교 전체를 소독했고 혹시 모를 감염 우려를 대비해 급식은 각 가정에서 도시락을 챙기도록 안내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긴급돌봄 첫날, 참여학생이 저조한 이유는 지역사회 감염 우려가 큰 상황에서 각 학교가 운영하는 돌봄교실이 안전한 환경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안감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경기도 긴급돌봄 학생 신청자 수는 총 2만4천130명었지만 1만465명명(43.36%)만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 경기도 전체 학생 중 긴급돌봄 참여자는 0.8%에 불과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날 교육부의 3주 개학 연기 발표에 온라인 학습지원을 강화 및 긴급돌봄 추가 조사 등 후속 지원 방안을 마련해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단위학교는 학년과 교과에 맞게 학습 플랫폼과 콘텐츠를 활용할 것”이라며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긴급돌봄은 5일까지 추가 수요조사를 마치고 원하는 경우 학부모가 학생을 안전하게 맡길 수 있도록 소독과 방역,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강현숙ㆍ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