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정치가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원인은 정치를 작동케 하는 주체인 정치인들에게 있다. 지난 4년동안 20대 국회는 여야간 한치의 양보도 없는 극한 대립으로 국민적 혐오감만 부추기는 집단으로 전락했다. 4·15 총선 공천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 들면서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등 양당 후보군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21대 국회 역시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사회의 다양한 인재를 영입해 각계의 의견을 반영하겠다며 정치판 물갈이를 여야 모두 강조 해 왔지만 지금까지의 초라한 인재영입 성적표는 변화를 희구하는 국민적 염원을 외면했다는 비판을 피해갈 수 없게 됐다. 안정적인 정권 하반기를 유지해야 하는 여당과 다수 의석을 차지해 정국 주도권을 잡겠다는 야당이 선택한 것은 참신하고 신선한 정치신인보다는 싸움 잘하는 기성 정치인이다.
지난 8일 여야의 4·15 총선 공천현황을 보면 민주당의 현역 교체율은 26%로, 비교적 현역이 강세를 보였고 청와대 출신 인사들의 선전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국정운영의 동력을 국회로 이어가 더욱 강력한 추진력을 얻자는 의미로 풀이된다. 통합당은 현역 교체율이 37%로 민주당보다는 다소 높은 편이지만 통합세력들에 대한 배려 때문으로 신진세력들이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민주당은 4·15 총선을 앞두고 청년 후보를 키우는 동시에 출마 후보 중 여성을 30% 배치하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 성과는 기대치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통합당은 청년 정치인들을 위해 수도권 8곳을 퓨처메이커 방식의 ‘청년 벨트’로 지정했지만 반발에 부딪혔다.
거대 양당의 경기도내 청년·여성 공천사정은 더욱 처절하다. 9일 현재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가 집계한 경기지역 청년·여성 공천률은 10%대에 그쳤다. 특히 당헌·당규상 청년 기준인 만 45세 이하는 7명(12.7%), 여성은 10명(18.2%)에 불과했다. 통합당 공천관리위원회가 이날 현재까지 공천한 경기도 41명의 후보 중 여성은 6명에 불과, 14.6%를 기록 중이다. 현재까지 공천된 만 44세 이하 청년은 7명(17.1%)이다.
공직선거법에 ‘지역구 후보의 30% 이상을 여성으로 추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는 규정이 존재하지만 각당 공천관계자들은 관련규정을 읽어보지 않는 모양이다. 정치혁신은 선거로 가능하지만 각당이 공천 후보자를 선택의 여지가 없는 인물들로 내세울 경우 유권자들은 난관에 빠지고 정치판 물갈이는 요원해진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