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을 앞두고 거대 양당의 경기 지역 대진표가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현역 의원과 맞붙는 원외 후보들이 후원금 모금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에 따르면, 공천을 확정 지은 지역구 중 현역 의원과 원외 후보가 맞붙는 곳은 총 23곳이다.
민주당 현역과 통합당 원외가 붙는 곳은 △수원을(백혜련·정미경) △수원병(김영진·김용남) △수원정(박광온·홍종기) △수원무(김진표·박재순) △성남 수정(김태년·염오봉) △성남 분당갑(김병관·김은혜) △성남 분당을(김병욱·김민수) △부천갑(김경협·이음재) △안산 상록갑(전해철·박주원) △안산 상록을(김철민·홍장표) △남양주을(김한정·김용식) △오산(안민석·최윤희) △파주을(박정·박용호) △광주갑(소병훈·조억동) 등 14곳이다.
통합당 현역과 민주당 원외가 대결하는 곳은 △성남 중원(윤영찬·신상진) △평택을(김현정·유의동) △동두천·연천(서동욱·김성원) △안산 단원을(김남국·박순자) △고양정(이용우·김현아) △남양주병(김용민·주광덕) △시흥갑(문정복·함진규) △이천(김용진·송석준) △김포을(박상혁·홍철호) 등 9곳이다.
이처럼 현역 의원들과 대결하는 원외 후보의 경우, ‘실탄’ 즉 후원금 모금을 확보하는 것에서부터 힘겨운 상황이다.
정치자금법상 현역은 선거가 있는 해에 기존 후원금 한도 1억5천만 원에 더해 총 3억 원까지 모을 수 있는 반면, 원외 인사는 후원금 모금 상한액이 1억5천만 원에 불과하다. 여기에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경기가 악화되면서, 후원금 모금 홍보 역시 쉽지 않은 실정이다.
민주당 문정복 시흥갑 예비후보는 “선거 외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데, 후원회 계좌를 개설한 지 꽤 됐음에도 불구하고, 후원금이 어느 정도 수준까지는 오르지 못했다. 코로나19로 내수가 얼어붙은 것이 영향을 미친 거 같다”며 “선거가 모두 현역 위주로 돼 있다. 국회에 들어가면 현역과 원외 인사들의 후원금 모금 한도 차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같은 당 김현정 평택을 예비후보도 “선거에는 비용이 많이 드는데, 현역과 원외 인사들의 후원금 모금 한도에 차별을 두는 것은 개선해야 될 문제다. 불공평하다”면서 “각 정당이 정치신인들의 진출을 위해 공천 과정에서 가산점을 주지만, 실질적으로는 (정치자금법 등의)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통합당 이음재 부천갑 예비후보는 “현역 의원들의 사정은 다를지 몰라도, 원외 인사들은 경기가 안 좋아서 후원금 모금이 잘 안 된다. 자기 먹고살기 바쁘다”면서 “현역은 3억 원까지 모을 수 있는 반면 신인은 1억5천만 원만 만들 수 있다. 이마저도 금액만큼 안 들어온다”고 토로했다.
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