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4ㆍ15 총선 투표율이 예년보다 떨어질 것으로 우려되면서, 여야 모두 투표율 제고 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다만 여당은 전통적 지지 기반인 젊은 세대의 득표율을, 통합당은 노년층의 투표 독려 방안을 고심하는 등 서로 다른 셈법으로 돌파구를 모색 중이다.
17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대 총선 투표율은 57.5%였다. 이는 19대 52.6%, 18대 43.7%보다도 높은 수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선거의 경우 코로나19 전염에 대한 ‘공포감’과, 생계 문제를 겪는 유권자들의 정치적 무관심 등으로 투표율이 높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코로나19로 투표 심리가 위축돼서 경기 지역 투표율이 18대 당시와 근접한 40%대 초·중반까지 많이 내려갈 거로 보인다”면서 “보수·진보 진영 양쪽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과 통합당 모두 투표율이 높아야 승산이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민주당은 30~40대 유권자들이 투표장에 나오지 않을까 고심이다. 30~40대 유권자 중 대부분이 육아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아이들의 건강을 우려, 이들이 투표장까지 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민주당 지지층으로 꼽히는 30~40대 유권자들의 투표율이 낮을 경우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민주당 설훈 최고위원(부천을)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코로나19의 큰 기세는 꺾인 것 같지만, 확진자 수가 모두 해소되는 데는 시간이 꽤 걸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문제는 청년들이 밖을 아예 나가지 않는다. 투표율이 훨씬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청년의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투표소 등에서) 마스크를 한 장씩 나눠주는 전략도 생각해야 한다.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국민운동도 찾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투표소 방문에 대한 거부감을 낮추기 위해 사전투표 기간을 늘려야 한다는 제안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송영길 의원(인천 계양을)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 당시 선거인 4~5명 중 1명이 사전투표를 통해 주권을 행사했다. 선거일 전 5일부터 2일 동안 진행되는 현재의 사전투표기간을 선거일 전 8일부터 5일간으로 연장한다면 투표소 내 인원 집결가능성을 낮춰 선거인의 감염 위험성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래통합당은 코로나19에 최약한 노년층의 투표율이 낮을까 전전긍긍이다. 통합당은 노년층 유권자들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계산, ‘정권 심판론’ 바람을 일으켜 이들의 투표율을 높이겠단 방침이다.
미래통합당 송석준 경기도당위원장(이천)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정치적 무관심이 더해지고 있다. 또 감염 공포감 등으로 인해 경기 지역 노년층의 투표율이 낮아질 거라고 본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결과적으로 투표율이 40%대로 가라앉을 수 있어 정권을 빨리 심판해달라는 ‘투표독려 운동’을 해야 한다”며 “정부는 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재정을 푸는 등의 막연한 정책이 아니라 국가적 방역 체계 수립, 공공생활 안전 담보 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선거관리위원회 역시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선다.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투표율이 낮아질 것에 대한 우려가 있어 투표소 방역과 투표관리관ㆍ투표참관인 등의 마스크 착용 등 사전준비를 철저히 하고 있다. 특히 확진자들이 투표할 수 있도록 우편으로 투표가 가능한 거소투표도 허용했다”면서 “이와 함께 온라인과 인쇄물, 시설물 등으로 대체해 적극적으로 투표독려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현호·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