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광역교통정책에도 ‘경기 퍼스트’를 실현한다. 서울시 통행에만 집중하지 않고 도내 시ㆍ군 간 교통 문제 등 도민 중심의 교통망을 설계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광역교통체계구축 연구용역’을 공고했다고 22일 밝혔다.
현재 경기도 차원의 광역교통계획은 없다. 매년 전국에서 10만 명 이상이 경기지역으로 전입하고, 신도시 개발로 거대한 교통 수요가 발생하는 가운데 자체적인 광역교통비전이 부재하다. 법적으로 광역지자체 계획을 의무 사항으로 규정하지 않았기 때문이지만 도는 이번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로 했다.
특히 올해는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기본계획(2021∼2040)과 이를 실행할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2021∼2025)이 수립되는 시점이다. 국토교통부에서 준비하는 대도시권 최상위 종합교통계획인 광역교통 기본계획은 대도시권의 교통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래 교통여건 변화를 반영해 광역교통정책의 비전ㆍ목표ㆍ추진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도는 상위 계획과 연계하면서 자체 광역교통계획을 재원 동반의 실행계획으로 만들 방침이다.
큰 방향은 도민의 광역교통 편의ㆍ안전ㆍ공정 등 3가지 키워드를 담는 것이다. 이를 통해 2040년까지 도가 추진할 정책적 비전을 제시한다. 구체적인 과업은 ▲도내 시ㆍ군 및 수도권의 관련계획 검토와 현황조사 분석 ▲광역교통수요 분석을 통한 예상문제점 검토 ▲도내 시ㆍ군 통행을 고려한 광역교통 비전 및 정책 방향 설정 ▲광역교통체계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개선방안 및 사업의 우선순위 설정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단계별 사업추진계획 수립 및 제도개선 등이다.
관련 과업을 다루면서 도는 서울을 통과하는 종적 노선보다 도내 시ㆍ군을 통행하는 횡적 노선에 더 집중한다는 복안이다. 예를 들어 고양시 일산에서 양주시 덕정 혹은 시흥시 배곧에서 수원시 광교 등 서울시를 통과하지 않지만 교통 수요가 많은 신도시 간 노선도 고려한다는 것이다. 이번 용역에서 다룰 교통 인프라는 도로, 철도 및 도시철도(트램 포함), 대중교통수단의 환승시설(KTX 및 SRT역, GTX역, 시외버스 정류소, 경기순환버스 정류소, P&R, SM&R), 버스우선시설(BRT) 등이다.
도 관계자는 “모든 도로가 서울로 향하면서 출퇴근 시간 차량 정체가 빚어진다. 아울러 서울이 아닌 도내 시ㆍ군 간 통행을 다룰 교통 정책이 부족하다”며 “내년 초 용역 최종보고회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경기도민 우선의 교통 비전’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