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을 협박해 성 착취 불법 촬영물을 제작ㆍ유포한 텔레그램 ‘박사방’ 운영자가 구속되면서, 경찰이 ‘박사방’을 비롯한 성 착취 영상 공유방 참여자 추적에 본격 착수했다.
23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지방경찰청은 ‘박사방’ 운영자 A씨를 구속한 뒤 미성년자를 포함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성 착취 영상물을 보고자 ‘박사방’에 참여한 이용자들의 신상을 파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해외 온라인 메신저인 텔레그램에서 이뤄진 성 착취 영상 공유방의 시초는 ‘n번방’으로, ‘박사방’은 그 연장 선상에서 만들어졌다. 일부 여성단체는 텔레그램 성 착취물 공유방 60여곳의 이용자가 총 26만명에 달한다고 추정한다. 이 중 ‘박사방’ 회원은 최대 1만명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관계자는 “‘박사방’ 회원들 역시 단순한 방관자가 아니라 집단 성폭력의 공범이라는 여론을 잘 파악하고 있다”며 “법에 근거한 처벌이 이뤄질 수 있도록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 역시 이른바 ‘n번방’ 사건과 관련해 “경찰은 ‘박사방’ 운영자 등에 대한 조사에 국한하지 말아야 한다. n번방 회원 전원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n번방’ 사건을 ‘잔인한 행위’로 규정, 경찰의 철저한 조사 및 강력한 대응을 지시한 것으로 경찰이 이 사건 가해자들의 신병 확보 등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문 대통령이 ‘n번방’ 운영자뿐 아니라 ‘n번방’을 이용한 회원 전원에 대한 조사 필요성을 언급한 만큼 이 같은 신종 디지털 성 착취 사건에 대한 경찰 수사는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텔레그램 n번방 용의자 신상공개 및 포토라인 세워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은 이날 오후 4시 기준 동의자 229만명을 넘겼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