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압력이 높은 경기도의 생물 다양성이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31일 ‘경기도 생물다양성 전략 수립 기초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를 보면 생물 다양성 관련 법적 보호지역을 분석한 결과 경기도 면적의 2.9%만이 보호지역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경우 서울시가 17개 지역인 것에 비해 경기도는 1개 지역만을 지정하고 있다.
생물다양성협약(CBD)에서 제공하는 23개 평가지표를 적용, 경기도의 도시 생물다양성 지수를 분석하니 92점 만점에 58점으로 평가됐다. 관련 예산, 교육, 관리체계가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도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진행한 설문조사(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에서 생물 다양성 인식은 5년 전에 비해 높아졌으나 아직도 도민 73%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연구원은 ‘2020~2024년 경기도 생물다양성 전략 및 이행계획 수립’을 위해 6개 전략과 13개 세부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23개 이행사업을 도출했다. 해당 내용은 ▲생물 다양성 주류화를 위한 도민 인식 증진 ▲위협 요인 저감을 위한 위해생물 제거와 서식지 관리 ▲경기도 주요 생물 보호와 도시 생물 다양성 증진 ▲생물 다양성 관리체계 확립을 위한 전담조직과 DB구축 ▲생태계 서비스 개념의 이용과 확산 ▲생물 다양성 관리를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국제협력ㆍ남북협력ㆍ민관협력 등이다.
연구를 수행한 김한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생물 다양성 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오래전부터 지방정부 생물 다양성 정책 수립과 이행을 중요하게 다루어 왔다”며 “이는 생물 다양성 보전과 증진을 위해서는 지역의 실질적 관리 권한과 이행력를 가진 지방정부의 적극적 참여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경기도의 생물 다양성 현황을 고려할 때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