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공항과 항만산업 살리기에 나섰다.
시는 14일 영종하늘문화센터에서 ‘제3차 비상경제 대책회의’를 열고 공항과 항만이 있는 중구를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하는 등의 내용을 정부에 건의키로 했다.
이날 박남춘 시장은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항만공사 등 유관기관과의 협의를 토대로 공항과 항만업계 지원대책 수립 및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추진키로 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인천공항은 지난 1월, 1일 평균 20만 명이던 여객 수가 지난 6일 4천581명에 그쳐 2001년 개항 이래 처음으로 일일 5천명 선이 무너졌다.
인천항도 지난 1~2월 인천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총 44만5천747TEU로 2019년 같은 기간(45만6천503TEU)보다 2.4% 감소했다. 여기에 인천-중국 항로 카페리가 여객 운송을 중단했고, 크루즈 운항도 끊기면서 국제 여객이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시는 코로나19로 타격을 입고 있는 항공·항만업계에 지방세와 재산세 감면·납부유예, 임대료 인하 등 1천271억 규모의 경제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50인 미만 사업장의 무급휴직 근로자 지원뿐 아니라, 특별고용지원 업종과 항공 운송관련 업종에 대해 사업장 규모의 예외를 두어 수상 항공 운송관련 무급휴직 근로자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했다.
박 시장은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 핵심 기간산업인 항공과 항만산업에 대한 발 빠른 지원책이 있어야 한다는 절박한 인식을 갖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 마련과 신속하고 과감한 정책집행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강정규·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