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공천 실패·막말 파동’ 승패 갈랐다

與, 코로나 대처 외신 호평에 전세 역전
野는 유력후보 대거 탈락 인물대결 밀려

15일 치러진 21대 총선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완승,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의 완패로 나타남에 따라 승패를 가른 요인에 관심이 모아진다.

선거는 ‘구도’와 ‘바람’, ‘인물’의 대결이라는 점에서 볼 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여당의 ‘야당 심판론’이 야당의 ‘정권 심판론’을 앞서고, 야당의 공천실패와 막말 파동이 이어지면서 판세가 크게 기울어버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총선은 당초 ‘문재인 정권 중간평가’가 최대 화두로 여겨졌다. 경제 실정을 비판하는 야당의 무능하고 부도덕한 정권 심판론이 뜨겁게 달아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이상기류가 형성됐다. 코로나19 사태 초반에도 정부의 초기방역 실패를 신랄하게 비난하는 야당의 공세가 거셌으나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번져가고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대처에 대한 외신의 호평이 이어지면서 오히려 전세가 역전됐다.

급기야 ‘문재인 정권 심판론’이 코로나19에 잠식되고, 발목 잡는 ‘보수 야당 심판론’이 높아지면서 여당은 침체된 분위기가 반전된 반면 곳곳에서 통합당에 대한 위험신호가 감지됐다.

여기에 통합당의 공천 실패는 자살골에 가까운 자충수가 됐다.

중도보수통합을 하면서 여당과 1 대 1 구도를 만들 것으로 예상됐으나 어처구니 없는 공천이 이어지면서 지지층 와해를 불러오며 전열이 크게 흐트러졌다.

현역 의원에 대한 물갈이 공천을 하면서 전혀 지역에 연고가 없는 사람을 전략공천하고, 지역 공천에서 떨어진 현역 의원을 다른 지역에 전략공천 혹은 경선을 하도록 하는 이상한 공천을 반복하면서 지역 내 지지층을 분열시켰다.

민주당도 전략공천 후유증을 겪었고, 코로나19로 인지도 낮은 전략공천 후보들이 대부분 고전한 점을 감안할 때, 통합당이 이기는 공천에 더욱 중점을 뒀다면 무기력하게 무너지지는 않았을 것이란 지적이 많다.

여당이 물갈이 공천이 저조하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당선가능성이 큰 현역 의원 등을 대거 공천한 반면 야당은 경쟁력 높은 의원과 유력 후보들을 대거 탈락시키면서 초반부터 인물 대결에서 밀렸다는 것이다.

특히 ‘퓨처메이커’ 청년 후보들을 공천하는 실험을 강행했으나 지역 내 착근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여당 후보와의 격차를 좁히는 데 실패, 대부분 출마경험을 쌓는 데 만족해야 했다.

선거 막판에 터진 차명진 부천병 후보의 ‘막말 논란’은 부동층과 중도층의 등을 돌리게 만들어 설상가상으로 열심히 쫓아가려는 통합당 후보들의 맥을 빠지게 만들었다.

당내에서는 이번 총선 참패의 책임은 무엇보다 황교안 대표에게 있다고 지적한다. 어렵게 중도보수 통합을 이뤄냈지만 공천실패를 자초한 뒤 선거기간 잇따라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여 리더십에 문제를 드러냈다는 것이다. 삭발과 단식농성을 할 때의 의지는 온데간데없고, 잇따라 헛발질을 하면서 정치 초보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당 관계자는 “전략 부재에 엉터리 공천, 대표의 리더십 부재 등 총체적 난국이 낳은 완패”라면서 “(21대 국회에서) 여당이 지난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처럼 밀어붙이면 어떻게 막을지 걱정이다”고 토로했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