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정성에도 영남 野 몰표
더이상 당근책 무용론 확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결과는 더불어민주당의 인천 압승, 미래통합당의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지역 석권으로 끝났다. 이 같은 대조적인 결과로 인천의 공공기관 이전에 유·불리를 따질 수 없는 상황이다.
22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민주당에서는 13개 선거구 중 11곳에서 승리하며 압승했다. 부·울·경, 대구·경북 지역에서 민주당은 부산 3석, 울산 1석, 경남 3석만 얻으면서 참패했다.
민주당의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석권은 수도권 의원의 입김이 중앙당에서 크게 작용할 수 있어 공공기관 이전을 막는데 긍정적인 요인이다. 20대 국회 때는 부산 지역의 민주당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부산의 민심을 돌리려 공공기관 이전 등을 추진했지만, 이번 총선에서 낙선하면서 ‘공공기관 이전 2’도 추진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도형 홍익정경연구소장은 “수도권에서 민주당의 중진 의원이 대거 승리를 거둬 공공기관 이전이 예전만큼 힘을 받지 못 할 것”이라며 “특히 통합당이 부산 르네상스 등을 외치며 이들 지역을 석권한 만큼 통합당의 공약을 견제하려는 심리도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오히려 민주당이 더욱 적극적인 공공기관 이전에 나설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집토끼인 수도권 민심이 아닌 산토끼인 부·울·경, 대구·경북 민심을 돌리기 위해 더 적극적으로 공공기관 이전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송영길 당선인(계양을)과 홍영표 당선인(부평을)이 당권을 위해 부산 지역 민심을 얻기 위한 일종의 당근책을 펼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21대 총선을 앞두고 나온 공공기관 이전은 상대적으로 열세로 분류했던 부산 지역 민심을 잡기 위한 것이었는데 대선 국면에서 반복될 수 있다”며 “오히려 당권에 도전하는 인천의 중진 의원이 많은 것도 공공기관 이전에 더욱 불리하게 작용할 것 같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