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총선 압승, 인천현안 ‘청신호’_공공기관 이전] “공동대응 필요”

이전 감행땐 관련 산업 타격
당선인·市 합심 존치 힘써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에서 압승을 거둔 인천의 더불어민주당 당선인들이 공공기관 지방 이전 문제를 두고 첫 정치력 시험을 치른다.

22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민주당은 총선 직후 수도권의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지방 공공기관 이전 시즌 2’ 추진을 예고했다. 앞서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지난 6일 부산을 찾아 “총선이 끝나는 대로 지역과 협의해 공공기관 이전 정책을 확정하겠다”고 했다.

지방 이전 대상으로 꼽히는 인천의 공공기관은 서구의 한국환경공단과 항공안전기술원, 연수구의 극지연구소 등이다. 한국환경공단은 2010년 한국자원재생공사와 환경오염방지사업단이 통합하면서 출범했고, 항공안전기술원과 극지연구소는 각각 2017년과 2006년 인천에 터를 잡았다.

이들 기관이 있는 지역구의 민주당 김교흥(서갑)·신동근(서을)·정일영(연수을) 당선인은 지방 이전을 반대하고 있다. 김 당선인은 항공안전이라는 항공안전기술원의 기능을 감안해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 사이에 있는 현재 자리를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신 당선인은 수도권매립지 인근을 환경 연구, 산업 메카로 만드는 설립 취지의 한국환경공단을 다른 공공기관처럼 쉽게 이전할 수 없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정 당선인도 극지연구소 이전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이미 연구소장과 면담에서도 이전 불가 답변을 받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막기 위해선 인천 지역의 모든 민주당 당선인이 중앙 정치권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들 기관이 지방으로 옮겨가면 드론인증센터, 에코사이언스 파크 조성 등을 추진 중인 인천 시정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항공안전기술원이 지방으로 이전하면 수도권매립지에 들어설 드론인증센터, 드론비행장 등과 연계가 어려워 드론 산업 클러스터 활성화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 한국환경공단 이전 시에는 시가 강소연구개발 특구로 지정받으려는 에코사이언스파크 사업에 차질이 있다. 에코사이언스파크는 서구의 한국환경공단, 국립환경과학원 등과 연계한 인천의 환경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극지연구소도 지역 대학 등과 관련 산업 및 연구 개발을 위해 협업 중이다.

김인수 시 정책기획관은 “인천지역 국회의원 당선인과의 만남에서 3개 기관 모두 존치를 위해 관련 내용을 건의하고 더욱 적극적인 협조를 구하겠다”고 했다.

한편, 인천의 공공기관은 지난 참여정부 이후 1차 지방 이전이 이뤄진 상태다. 2007년에는 해양경찰교육원이 여수로 이전했으며 2009년에는 경찰인재개발원이 아산으로 이전했다. 2012년에는 국립해양조사원이 부산으로 떠났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