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3D 디지털 지도 전 현장에 적용

포스코건설은 6일 클라우드 기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업계 최초로 개발해 전 현장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POS-Mapper라고 명명된 이 앱을 이용하면 3D 디지털 지도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공사구간의 거리, 면적, 부피 등을 간단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장의 날짜별 현장정보들을 담은 슬라이드를 중첩해 공정 진행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고 변동사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각 현장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드론과 3D스캐너로 촬영이 가능하고 기술연구소에서 현장에서 필요한 데이터로 바로 가공해 업로드할 수 있다. 전 현장에서 모바일, 태블릿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다.

3D 디지털 지도는 공사현장과 주변을 입체적으로 시각화해 시공오차와 공종간섭 등의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게 해주고 정확한 물량산출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그러나 대용량이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제약이 있고 일반PC로 구동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또 드론 촬영과 데이터 분석 전문인력이 부족해 그 동안은 본사의 기술연구소에서 직접 현장을 촬영하고 정보를 분석 후 데이터를 제공해도 실제 현장에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포스코건설은 건설용 드론 데이터 플랫폼 연구개발 중소업체인‘카르타’와 함께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3D 디지털 지도 전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나섰다.

포스코건설은 기존에 기술연구소에서 촬영, 데이터분석 등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때 4일간 소요되던 작업기간이 POS-Mapper 앱을 통해서 2일내로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국내 건설사 최초로 고정밀 데이터 활용 시스템 구축을 통해 활용에 제한이 있었던 대용량의 3D 데이터를 업무 담당자들과 이해관계자들이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다”며 “스마트컨스트럭션을 확대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송길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