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등 미래먹거리 집중 조직개편
민선7기 인천시 ‘박남춘호(號)’가 하반기 시정 방향을 수도권매립지와 각종 안전 등 현안 해결에 집중한다. 또 바이오 등 인천의 미래먹거리 선점을 위한 전반적인 조직개편에 나선다.
11일 시에 따르면 공론화 절차가 진행 중인 친환경 폐기물 관리정책 전환과 자체매립지 조성을 위해 환경국을 수술대에 올린다. 시는 환경국 자원순환과에 태스크포스(TF) 형태로 있는 수도권매립지정책개선단을 별도의 과(課)로 승격시킬 예정이다. 이 과에선 인천의 가장 현안인 수도권매립지 문제뿐만 아니라 쓰레기 제로화, 시민 갈등이 심각한 소각장 문제 등을 모두 맡는다.
시는 또 녹색기후과와 환경쟁책과를 대상으로는 환경정책 및 기후분야와 시민 생활과 밀접한 환경 분야로 나누는 등 기능 재개편에 나설 예정이다.
특히 시는 기본·원칙이 튼튼한 안전도시 만들기도 본격화한다. 우선 지난 2019년 5월 발생한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의 근본적 재발 방지를 위해 상수도사업본부에 30여명의 인력을 충원한다. 적수 사태 후속 조치로 생긴 상수도혁신위원회가 요청한 워터닥터·워터코디 인력이다. 만약 부족하면 종전 상수도본부 인력을 전환해 배치토록 할 예정이다. 시는 또 노후화 등으로 상수도처럼 장기적 불안요소가 큰 하수도에 대해서도 현황을 세밀히 진단한 뒤, 관련 조직을 보강할 방침이다.
코로나19 관련해 핵심 조직인 보건환경연구원에도 감염병 진단관련 연구원 등 인력을 늘리고, 식중독 전담부서를 신설한다. 현재 5급 부서도 모두 4급으로 격상한다.
지하철 건설 등이 많은 만큼 도시철도건설본부의 안전실(5급)도 4급 조직 체계로 승격시키고 관련 팀을 신설하는 등 인력을 보강한다. 또 지역 곳곳에서 진행 중인 지중화 관련 사업들도 도로과로 업무를 옮겨 전문성을 높인다. 시는 공중 전기선은 물론 각종 케이블까지 모두 합쳐 지중화를 추진해 안전성을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인천의 미래먹거리를 위한 조직도 대폭 개편한다. 분야는 바이오헬스를 비롯해 수소, 어촌뉴딜 등이다. 바이오헬스는 셀트리온·삼성바이오 등 대기업을 연달아 유치한 만큼, 이들을 중심으로 연계·협력 할 수 있도록 전담부서를 만들 계획이다. 수소 산업을 비롯해 어촌뉴딜사업도 각각 전담부서를 꾸려 행정력을 모을 방침이다.
이 밖에 평가담당관실은 일부 평가 기능을 예산담당관실이나 자치행정과로 넘기는 대신, 시정 전반에 대한 상황관리를 할 수 있도록 조직을 보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남은 민선7기 2년여 동안 인천의 현안인 수도권매립지와 안전 분야에 대한 문제해결을 이뤄내기 위한 조직개편 방향”이라며 “현재 밑그림을 그리고 있으며, 곧 확정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