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10곳 사전점검 결과 배터리 등 ‘부적정’ 다수
유동인구 많은 건물엔 위치 안내도 제대로 안 돼있어
찾는 데만 2분 넘어… 道 “내달 실태점검, 개선안 마련”
심정지 시 목숨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인 ‘자동심장충격기(AED)’에 대한 ‘관리 부실’ 행태가 드러났다. 사용이 불가능한 수준의 AED가 있는가 하면 위치 표시가 되지 않아 긴급 상황 시 실사용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 AED가 안전 및 생명과 직결된 만큼 관리에 대한 지자체들의 책임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는 최근 도내 한 지자체 공동주택(500가구 이상) 10개소에 대해 AED 사전 점검을 진행했다. 이 결과, 배터리 및 패드 유효기관 경과, 설치장소 부적정 등이 다수 확인됐다.
경기도 내 AED 의무 설치 공동주택은 2천218개소로 시ㆍ군ㆍ구별 최소 8개소에서 최대 211개소까지 설치돼 있다. AED는 심장에 전기 충격을 줘 심장 정상화를 돕는 역할을 하는 의료기기로 해마다 국내 심정지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급 및 사용의 중요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조사 결과 전국에서 급성 심정지로 사망하는 사람은 연간 3만여명으로 이 중 80%는 초기 대응을 받지 못해 사망했다. 한 소방 관계자는 “갑작스러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제고를 위해서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심장에 문제가 생겼을 때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중요한 의료기기지만, 관리는 부실한 실정이다. 애초 심정지 시 ‘4분의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철도 역사나 50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엔 AED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입구와 내부에 위치를 안내하도록 돼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선 설치만 한 채 안내가 제대로 안 된 곳이 대부분이었다.
이날 수원역과 수원버스터미널 등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된 수원과 용인 일대 건물 5곳을 둘러본 결과, 건물 입구에 설치 표시된 곳은 단 1곳뿐이었다. 한 곳마저도 건물 안 어느 위치에 설치된 건지 구체적인 안내문이 없어 자동심장충격기를 찾는 건 쉽지 않았다.
수원역에서는 유도 안내 표시조차 없어 AED를 찾는 데만 2분 이상이 소요됐다. 역사 안에 붙여진 대피 도면이나 점자 지도 등에도 AED에 대한 정보는 찾을 수 없었다. 자동심장충격기 위치를 알려주는 스마트폰 어플이 있지만, 홍보가 안 돼 이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파악한 경기도는 다음 달부터 대대적인 ‘AED 관리실태 점검’에 들어갈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점검을 통해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및 관리실태를 파악해 향후 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