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농업 분야도 큰 변화에 직면, 위기 대응을 위해 공공 역할을 강화하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0일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농업, 무엇을 대비해야 하나’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사태로 ▲국경봉쇄에 따른 식량안보 문제 대두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식품 가격 상승 ▲공공급식 중단으로 취약계층 먹거리 문제 심화 ▲이주노동자 입국 지연으로 농업부문 생산 차질 등 식량 공급망 위험 요인이 발견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코로나19 이후 농업 부문이 ▲국제물류시스템 중단 장기화시 식량안보 위기 우려 확대 ▲재택수업 장기화에 따른 배달 중심의 공공급식 개편 ▲외식소비심리 위축과 식품 소비패턴 변화 ▲도시 실업자 문제 관련 농업 부문의 사회적 완충기능 요구 증대 등의 형태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변화 속에서 연구원이 내놓은 해답은 ‘공공 역할 강화’였다. 김용준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발생한 도시의 한시적 실업인구를 농업 부문의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로 포용하자”며 “농업 부문 공공정책 확대, 민간 네트워크 구성 등을 통해 도ㆍ농 일자리 연계사업 활성화, 도시 유휴인력 상시채용 등 농업부문의 사회적 완충기능을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이후 생산농가 판매 지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농산물꾸러미 사업은 농업분야의 위기 상황을 고려해 당분간 지속해야 한다”며 “코로나19로 인해 대두된 온라인 식품 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기존 농산물꾸러미 사업을 반조리식 밀키트(손질이 끝난 식재료와 양념을 넣고 정해진 순서대로 조리하기만 하면 되는 가정간편식. 조리 시간 단축과 재료 손질 과정에서의 식자재 손실분을 최소화) 형태로 개선ㆍ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