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교통수단 확충·사회적 인식 전환 등 4대 목표 설정
경기도가 교통약자 320만명을 보호ㆍ지원하기 위해 적극 나선다. 도는 특별교통수단 확충ㆍ사회적 인식 전환 등을 포함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사업’에 6천500억원을 투입, ‘인간 중심의 교통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지원계획(2020~2024년ㆍ2차)’을 공고했다고 31일 밝혔다. 앞서 도는 2014년 1차 지원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이처럼 도가 별도로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는 것은 도내 교통약자가 수백만 명이나 되기 때문이다. 교통약자는 고령자(65세 이상), 임산부, 어린이(5~9세), 영유아 동반자(0~4세 인구로 추정), 장애인 등을 통칭한다. 도내 교통약자는 2015년 298만3천여명(전체 23.8%)에서 올해 326만 4천여 명(전체 24.4%)으로 28만명 이상이 증가했다. 2024년에는 362만5천여명(전체 26.1%)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도는 ‘교통약자의 대중교통 접근권ㆍ이동권을 보장하는 인간 중심의 교통 체계 구축’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 4대 목표를 설정했다. 이는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이동수단 및 시설지원 확대 ▲특별교통수단 광역운영 개선방안 강구 ▲교통약자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추진 ▲교통약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 등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특별교통수단의 안정적 보급률을 유지한다. 특별교통수단은 교통약자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휠체어 탑승 설비 따위를 장착한 차량이다. 현재 경기도 특별교통수단 보급률은 142%(운영 대수 1천71)이며, 이는 국토교통부 기준(84%)을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도는 시ㆍ군 재정자립도에 따라 도입 비용은 30~70%, 운영 비용은 10~20% 도비로 지원한다. 여기에 광역이동 기준(버스수준 요금, 24시간 운영, 즉시콜 제공, 수도권 운행 등)을 만족하는 시ㆍ군에 추가로 10%를 보조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저상버스도 보급률을 지난해 13.4%(1천441대)에서 2024년 34.9%(3천737대)까지 끌어올린다. 저상버스 도입 지원 근거(업체에서 폐차 후 지속 도입하는 경우), 인센티브 지급 기준(운행실적 평가) 등을 마련해서다. 이밖에 ▲교통약자 인식 제고(세미나, 동영상 홍보) ▲이동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 운영 고도화 ▲광역이동지원시스템 개선 ▲바우처택시 확대 등이 명시됐다.
도는 이번 5개년 투자 계획에 총 비용을 6천546억여원(도비 682억여원)으로 추산했다. 특별교통수단 예산이 4천840억여원, 저상버스 예산이 1천704억여원, 홍보ㆍ교육비가 1억원이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