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희망고문을 끝내고,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을 위한 특례보증과 복합물류단지 건립 등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만들어야 합니다”
남북관계 악화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희건 경기개성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9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진행된 경기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이 말했다.
이 이사장은 가장 먼저 지난 4년간 개성공단 기업들은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한 피해 보상을 시행했다고 했지만, 직접적인 피해에 대해서만 지원하는 데 그쳤다”며 “가동 중단 이후 지금까지 발생한 간접적인 피해액에 대한 보상은 아직 받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4년 동안 주문 감소, 거래처 이탈, 추가 공장 건설에 따른 비용 부담 등으로 고사위기에 내몰려 있다”며 “말 그대로 살아남기 위해 버티는 수준”이라고 하소연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한 이 이사장은 “매출 감소와 늘어난 빚으로 이미 대부분 기업들의 신용등급은 엉망이 돼 은행 대출은 물론 정부 지원 기준의 문턱조차 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개성공단 기업에 대한 제대로 된 지원이 이뤄지려면 조건을 따지지 않는 특례보증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또 그는 추후 개성공단이 다시 중단됐을 때 발생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 대책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이사장은 “개성공단이 중단될 때마다 기업들은 쌓아놨던 물류 등 유동자산을 모두 잃는 문제를 반복적으로 겪었다”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주기업들이 물류를 보관할 수 있는 개성공단 복합물류단지가 조속히 조성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끝으로 이 이사장은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교섭력을 키우고자 조합의 조직 규모를 지금보다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그는 “현재 전국 시ㆍ도에서 조합을 갖춘 곳은 경기도뿐”이라며 “경기도에서는 그만큼 교섭력이 있는 단체가 됐고 지자체 예산도 지원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아직 다른 지자체에서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 예산이 전무한 실정”이라며 “어려움에 부닥친 기업들을 위한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금의 경기개성공단사업협동조합을 전국 조합으로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