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학교현장의 코로나19 방역대책과 무상급식 예산 문제가 인천시의회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서정호 시의원(더불어민주당·연수2)은 10일 열린 시의회 제263회 제1차 정례회 교육감 대상 시정질문에서 코로나19로 사용하지 않는 무상급식 예산에 대해 지적했다.
서 의원은 “개학 연기로 무상급식비 234억원이 고스란히 남은 상황에서 농산물 꾸러미 사업에 이 중 105억원만 사용했다”며 “약 130억원의 예산은 정례회 심사 예정인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삭감 후 다른 곳에 사용할 예정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이어 “학생복지를 위한 무상급식 예산 잔여분을 왜 일부만 지원했는지, 나머지 예산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도성훈 교육감은 “급식비 추경 편성 등에 대해서는 논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시교육청의 결정사항이 아니다”고 했다.
조선희 시의원(정의당·비례)은 원격수업과 관련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조 의원은 “조손가정이나 취약계층 학생들은 원격수업에 어려움이 많아 엄마 개학이라는 이야기를 나올 정도로 주변에서 도와줘야한다는 우려가 있다”고 했다.
김진규 시의원(민·서구1)은 학교 현장의 실내 발열체크 문제와 검사 인력의 감염 우려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도 교육감은 “취약계층에 놓여 있는 학생들에 대한 기기대여, 다자녀 가구 등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원격수업이 중요한 축으로 자리잡아가면서 기기에 대한 요구도 방법을 찾아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19 대응 관련 매뉴얼 등 시교육청 상황실에서 밤을 새우며 학교별 상황에 맞출수 있도록 논의하고 있다”며 “교육부와 소통하며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맞춰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