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무산 위기에 직장운동부 불똥튈까 ‘노심초사’

道체전 취소 이어 운동부 존립 기반에 영향 미칠 것으로 우려

▲ 오는 10월 열릴 예정인 제101회 전국체육대회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개최지 경북이 연기를 요청했다. 경기도체육대회에 이어 전국체육대회가 무산될 경우 시.군 직장운동부 운영에 미칠 파장에 대해 관계자들이 우려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전국체육대회 여자 일반부 5천m 경기 모습.경기일보 DB

제101회 전국체육대회(이하 전국체전)가 코로나19 여파로 개최지 경상북도의 연기 요청(본보 11일자 1면)으로 사실상 무산될 전망인 가운데 경기도 체육계가 이로 인한 영향이 미칠 우려에 대해 노심초사 하고 있다.

특히, 5월 개최 예정이었던 제66회 경기도체육회가 취소된데 이어, 전국체전이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무산 위기에 직면하면서 시ㆍ군 직장운동부 관계자들은 존립 기반이 흔들리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들이 우려하는 이유는 직장운동부의 육성이 도체육대회와 전국체전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지난 1980년대 초 경기도가 전국체전 전력 강화를 위해 가장 먼저 직장운동부 육성을 시작했다. 이후,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경제 위기 여파로 기업팀들의 해체 도미노 현상이 빚어지면서 지방자치단체가 잇따라 운동부를 창단해 선수 육성에 나섰다.

그러나, 최근 지방체육이 생활체육 육성으로 정책기조가 바뀐데다 지난 1월 민선 체육회장 시대의 도래에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지자체의 예산 운용이 어려워지면서 체육 예산 축소가 곳곳에서 거론되고 있다.

이에 복수의 팀을 운영하는 몇몇 지자체에서는 벌써부터 내년도 직장운동부 운용 예산을 줄여야 한다는 얘기가 거론되고 있다. A시의 경우 내년도 직장운동부 예산의 20%를 삭감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 경우 기존 선수들의 연봉 삭감 또는 정원을 줄이거나 심지어는 1~2개 종목의 해체설 마저 나오고 있다.

또 많은 직장운동부를 운영하는 B시의 경우에는 A시처럼 구체적인 긴축방안은 나오지 않았지만, 올해 주요 대회가 취소되고 시 전체의 예산 운용이 어려운 상황에 따라 연말 일부 종목을 줄일 수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선수와 지도자들이 긴장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지도자는 “도체육대회 취소에 이어 전국체전도 개최가 어려운 상황에서 전국대회, 국제대회도 개최가 불투명하다”라며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선수와 지도자 연봉이 삭감될 것은 불보듯 뻔하다. 당장 팀 해체 같은 최악의 상황은 없겠지만 직장운동부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한편, 도내에는 경기도를 비롯, 27개 시ㆍ군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29개 종목 129개팀, 1천104명의 선수가 소속된 직장운동부가 운영되고 있다.황선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